백화점 세일, 명품에 웃고 패딩에 울고

백화점 세일, 명품에 웃고 패딩에 울고

입력 2014-01-06 00:00
업데이트 2014-01-06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년 첫 세일 주말 실적, 한자릿수 증가

주요 백화점의 신년 첫 세일 초반 매출이 상품군별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패딩 등 방한 의류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감소한 반면 유명 해외 패션 상품의 매출은 증가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일 시작한 신년 세일의 첫 나흘간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기존점 기준으로는 0.3% 증가한 수치다.

상품군별로 여성복과 남성복은 1.5%, 1.6%씩 감소했다. 패션 잡화도 1.4% 매출이 떨어졌다.

롯데백화점은 작년 4분기 강추위로 특수를 누렸던 방한 의류가 새해 들어 날씨가 포근해지면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연말연시 선물 시즌을 맞아 해외 패션 상품은 27.0% 신장했다. 특히 해외 유명 브랜드의 잡화는 32.6% 증가하며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

스포츠·레저 상품의 인기도 여전해 일반 스포츠 20.4%, 레저 7.0% 증가했다.

또한 새로운 인테리어와 소품으로 새해를 맞으려는 고객이 늘면서 주방용품(24.2%), 식기·홈데코(31.6%), 가구(38.7%) 등 가정 상품권이 매출 효자 역할을 했다.

김상수 마케팅전략팀장은 “작년 4분기 이후 매출 신장세를 유지하면서 세일 초반 매출 상승을 기대했지만,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보이면서 패션 관련 상품군이 다소 부진해 기대했던 세일 특수를 못 누렸다”며 “세일 중·후반에 다양한 겨울 상품전 및 프로모션 등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2∼5일 누계 매출이 작년보다 2.5% 증가했다.

여성복 -5.2%, 남성복 -3.5% 등 주요 겨울 상품군은 마이너스 신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해외 패션 21.5%, 가정용품 9.8% 늘어났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세일 초반 무역센터점 증축 및 리뉴얼 효과로 해외 패션 부문이 강세를 보였다”며 “이번 주 후반부터 강추위가 다시 올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겨울 패션 상품을 중심으로 대형 행사를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작년보다 세일 초반 매출이 4.5% 신장했다.

역시 최근 포근한 겨울 날씨로 패딩 등 방한 의류 수요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주얼의 경우 -5.4%, 남성복 -7.2% 등 역신장했다.

그러나 해외 명품은 잡화를 중심으로 27.2% 상승했다.

봄철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 부부의 혼수 수요가 늘면서 시계·주얼리 62.3%, TV 등 대형 가전 63.7%, 가구 56.8%, 식기류 36.4% 등 혼수용품도 증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