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고령자 개인연금 가입률 5.7%에 불과”

“60세 이상 고령자 개인연금 가입률 5.7%에 불과”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5 1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자의 개인연금 가입률이 낮아 사적 연금을 활용한 노후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보험개발원이 분석한 ‘2012년 개인연금 가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개인연금 가입자는 800만명(15.7%)이며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는 가입률이 5.7%에 불했다.

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는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합한 노후연금이 과거 소득의 70∼80%를 대체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은 이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OECD 국가들의 평균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54.4%였다.

그러나 한국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40년 가입기준으로 39.6%이고 국민연금 평균 가입기간이 27년인 점에 비춰 실질적인 소득 대체율은 25.8∼30.7%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사적연금 가입자의 소득대체율은 약 21.2%(퇴직연금 13%, 개인연금 8.2%)로 역시 OECD 등 국제기구 권고비율(40%)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개발원은 “고령자 가운데 사적연금 미가입자가 많아 연금을 이용한 노후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개인연금 가입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28.0%)가 가장 높고 30대(25.3%), 50대(22.9%), 60대(9.7%), 10대이하 (6.3%), 70대이상(1.5%) 등 순이다.

10대 이하는 부모들이 자녀의 장래를 위해 미리 개인연금에 가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시도별 가입률은 서울(20.3%), 울산(20.2%), 광주(17.5%) 등 순이다.

은퇴준비가 가장 활발한 40∼50대의 지역별 가입률 격차는 15.6%포인트(울산 34.7%, 강원 19.1%)에 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