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사칭 피싱사이트 2년새 79배 급증

금융기관사칭 피싱사이트 2년새 79배 급증

입력 2014-01-21 00:00
업데이트 2014-01-21 0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싱사이트 넷중 셋 금융기관 사칭…정보유출 고객 주의 요망

금융권 고객 정보가 대량 유출된 가운데 국내 금융기관을 사칭한 피싱사이트가 2년 새 79배 급증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21일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작년 1~11월 국내 금융기관을 사칭했다가 차단된 피싱사이트 건수는 5천814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4천50건보다 37.1%(1천572건) 급증했다.

2011년 한 해 발견된 금융기관 사칭 피싱사이트 74건에 비해서는 무려 79배에 달한다.

작년 1~11월 정부·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싱사이트는 1천638건으로, 전년 동기(2천563건)보다 38.1%(1천8건) 급감했다. 2011년 1천774건보다는 136건 적은 수준이다.

돈거래가 많은 금융권 고객을 노린 범죄가 급증해 전체 피싱사이트에서 금융기관 사칭 사이트가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작년 1~11월 국내 기관을 사칭한 피싱사이트 7천554건 중 금융기관 사칭 사이트의 비중은 77.0%에 달했다. 피싱사이트 4개 중 3개가 금융기관을 사칭했다는 의미로 비중이 전년 같은 기간 60.7%나 2011년 한해 4.0%보다 높다.

작년 1~11월 게임·포털업체 등을 사칭한 피싱사이트는 102개로 전체의 1.4%에 불과했다.

금융기관 사칭 사이트가 증가세를 보이는 와중에 금융권 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해 피해 예방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인경 KISA 침해사고탐지팀장은 “최근 금융권 고객정보 유출 사건으로 국민이 불안해하는 분위기를 악용해 피싱사이트로 연결되는 문자결제사기(스미싱)가 급증하고 있다”며 “문자메시지(SMS) 내 링크나 알 수 없는 출처 앱을 접속하지 말고 소액결제 한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