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투자 2년째 ‘후진’… 성장률 다시 1% 밑으로

설비투자 2년째 ‘후진’… 성장률 다시 1% 밑으로

입력 2014-01-24 00:00
업데이트 2014-01-24 0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비투자 전년보다 1.5%↓… 수출 덕 작년 성장률은 2.8%

국내 설비투자가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성장의 핵심 축 가운데 하나인 투자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세금마저 덜 걷히면서 분기 성장률은 다시 1% 밑으로 떨어졌다. 그래도 수출이 선방한 덕분에 지난해 성장률은 당초 추산대로 2.8%를 기록했다. 3년 만에 반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2012년(2.0%)에 이어 2년 연속 2%대 저성장에 머물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3분기보다 0.9%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발표했다. 9분기 만에 0%대를 탈출했던 분기 성장률이 도로 주저앉은 것이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국세만 1조 1000억원이 덜 걷혔다”면서 “이 여파로 정부투자가 줄면서 분기 성장률이 내려갔다”고 분석했다. 상반기 경기를 떠받쳤던 정부소비는 ‘실탄’ 고갈로 4분기에 증가율 제로(0.0%)를 기록했다. 이 공백은 민간소비(0.9% 증가)가 메웠다.

연간으로는 2010년 6.3% 성장한 뒤 2011년 3.7%, 2012년 2.0%로 계속 하강하다가 3년 만에 2.8%로 올라섰다. 엔화 약세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4.3% 증가한 덕이 컸다. 건설투자(6.9%)와 건설업 성장률(3.7%)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도 눈에 띈다. 건설투자 증가율과 건설업 성장률이 동반 상승을 기록한 것은 4년 만이다.

하지만 설비투자는 전년보다 1.5% 감소해 2년 연속 플러스 전환에 실패했다. 정 국장은 “자본재 수입이 지난해 4분기에 전기 대비 22.8% 느는 등 기계류 중심으로 투자가 조금씩 나아지는 양상”이라면서 “올해도 수출이 성장을 견인하겠지만 일방적으로 끌고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1-24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