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자동차산업 무역흑자 635억달러…역대 최고

작년 자동차산업 무역흑자 635억달러…역대 최고

입력 2014-02-12 00:00
업데이트 2014-02-12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4년 이래 30년 연속 흑자 행진…수출 실적도 최대

작년 자동차산업 무역흑자가 630억 달러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984년 이래 30년 연속 흑자 행진도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작년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산업 전체 수출이 747억 달러, 수입은 112억 달러로 635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흑자 규모로는 주요 수출품목 가운데 최고다. 작년의 경우 선박이 335억 달러, 석유화학 314억 달러, 석유제품 232억 달러의 흑자를 각각 기록했다.

자동차산업이 작년 국가 전체적으로 사상 최대의 무역흑자(442억 달러)를 달성하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한 셈이다.

1984년 처음으로 자동차산업이 1천만 달러의 흑자를 나타낸 이래 30년 연속 이어진 기록으로 의미가 크다.

1984년 이전만 해도 자동차 핵심부품에 대한 수입 비중이 커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그해를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엑셀, 대우자동차 르망, 기아자동차 프라이드 등의 수출 전략모델이 쏟아져나오면서 흑자국으로 변모했다.

1984년 이후 자동차산업의 연평균 무역수지 흑자 증가율은 34.3%에 달한다.

작년 수출 역시 품질경쟁력·브랜드 위상 향상과 더불어 부가가치가 큰 대형 승용차, 레저용 차량(RV)의 수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형승용차와 RV의 수출 비중은 1996년 4.5%에서 작년에는 41.3%로 17년새 10배 가까이 늘었다.

한편, 지난달에는 설 연휴로 영업일수가 이틀 감소함에 따라 자동차 생산이 작년 같은 달 대비 10.3% 줄어든 36만8천243대를 기록했다.

수출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의 여파로 9.9% 감소한 25만6천52대로 집계됐다.

다만 내수는 소비심리 개선과 신차 효과 등이 맞물려 12만1천999대로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가 플러스 성장한 것은 작년 8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산업부는 “상반기에 각 업체 주력모델의 신차 출시가 예정돼 있는데다 RV차량 수요도 꾸준해 올해 내수시장이 다소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