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8월 판매량 7.3% 급감…파업·휴가 여파

완성차 8월 판매량 7.3% 급감…파업·휴가 여파

입력 2014-09-01 00:00
업데이트 2014-09-01 1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의 판매 실적이 노조의 부분파업과 여름휴가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등 5개 업체의 8월 국내외 판매량은 총 63만8천372대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3% 감소했다.

현대차가 35만7천698대로 5.9% 감소했고, 기아차는 21만7천438대로 3.0% 줄었다.

한국GM은 4만3천18대를 팔아 30.4% 급감했다. 르노삼성차는 1만599대로 2.3%, 쌍용차는 9천659대로 16.8% 각각 감소세를 보였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8월 여름휴가와 노조의 부분파업으로 완성차업체의 내수와 수출이 모두 동반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5개사의 내수판매량은 지난해 11만338대에서 올해 10만5천983대로 3.9% 줄었다. 수출도 이 기간 57만8천370대에서 53만2천389대로 8.0% 쪼그라들었다.

업체별 내수 판매량을 보면 현대차가 4만8천143대로 작년보다 1.0% 증가했다.

반면 기아차는 3만6천3대(-7.7%), 한국GM 1만1천938대(-11.0%), 르노삼성 4천741대(-6.9%) 등으로 모두 뒷걸음쳤다.

쌍용차는 5천158대로 작년 8월과 같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수출도 업체별로 대부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현대차의 해외판매량은 30만9천555대로 6.9% 줄었고 기아차는 18만1천435대(-2.0%), 한국GM 3만1천80대(-35.7%), 쌍용차 4천501대(-30.2%) 등의 실적을 기록했다. 르노삼성은 5천818대를 수출해 작년 8월보다 1.8% 증가했다.

자동차업계는 선진시장은 물론 신흥시장까지 성장이 둔화하고 있고, 환율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등 앞으로도 수출환경이 계속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