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도시락 제품서 대장균 검출”

“일부 도시락 제품서 대장균 검출”

입력 2014-09-14 00:00
업데이트 2014-09-14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판 중인 일부 도시락 제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됐다. 또 나트륨 함량도 높아 하루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편의점·기차·도시락 전문점·외식업체 등에서 판매되는 30개 도시락에 대해 미생물 및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3개 도시락에서 대장균이 검출됐다고 14일 밝혔다.

검출 제품은 편의점 CU의 ‘더블 BIG 정식’, 외식업체인 불고기브라더스의 ‘한우 채끝등심 도시락’, 비비고의 ‘싱글C 불고기비빔밥’이다.

그러나 30개 제품 모두 황색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는 검출되지 않았고, 바실러스세레우스의 경우 7개 제품에서 검출됐으나 기준치는 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해당 업체 3곳은 위생 개선 조치를 약속했다고 연맹은 전했다.

영양성분 분석에서는 30개 제품 중 9개 제품이 나트륨 하루 기준치(2천㎎)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제품은 기차에서 판매하는 레일락의 ‘햄버거 스테이크 도시락’, 아웃백의 ‘네드 켈리 불고기 도시락’과 ‘바비큐 스테이크 도시락’, 빕스의 ‘돈가스 도시락’, TGIF의 ‘잭다니엘 찹 스테이크’다.

또 베니건스의 ‘불고기 도시락’, 불고기브라더스의 ‘한우 채끝등심 도시락’과 ‘제육쌈밥 도시락’, 비비고의 ‘타입B 제육불고기’의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제품은 열량도 높았다. 아웃백의 ‘바비큐 스테이크 도시락’의 1회 제공량당 열량은 1천690㎉로, 성인 남성의 하루 필요량(2천600㎉)의 절반을 훌쩍 넘었다.

도시락의 평균 가격은 외식업체 도시락이 1만5천775원으로 가장 비쌌고, 편의점 도시락이 3천313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기차에서 판매하는 도시락의 평균 가격은 8천750원, 도시락 전문업체의 제품은 3천863원이었다.

연맹은 이번 도시락 비교정보를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에 올렸다.

연맹 관계자는 “같은 도시락임에도 판매 형태별로 미생물 관리 등에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돼 공통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며 “미생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빨리 증식하므로 제조일자와 식품표시사항 등을 확인하고 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