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업체 8만개 늘어 369만개…”베이비붐 세대 창업 영향”

지난해 사업체 8만개 늘어 369만개…”베이비붐 세대 창업 영향”

입력 2014-09-26 00:00
업데이트 2014-09-26 1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소규모, 도소매·음식숙박업 중심으로 증가

은퇴한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창업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사업체 수가 1년 전보다 8만개 가까이 증가했다.

늘어난 사업체는 주로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은 중소 규모의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이다.

◇ 50대 베이비부머, 중소규모 도소매·음식숙박업 창업 늘어

26일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잠정결과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사업체 수는 367만9천개로 1년 전보다 2.1%(7만6천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전인 1993년과 비교하면 사업체 수는 59.6%(137만4천개) 증가했다.

작년 말 사업체 종사자 수는 1천909만명으로 1년 전보다 2.8%(52만5천328명), 20년 전보다 55.9%(685만명) 각각 늘었다.

대표자 연령대별로 보면 작년 말 사업체 수는 50대에서 1년 전보다 11.4%, 60대 이상에서 4.4%, 40대에서 1.0% 각각 증가했다. 반면에 30대는 18.1%, 20대는 9.9% 줄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인 50대가 대표자인 사업체 수는 전체의 38.0%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산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의 사업체 수 증가 기여율이 24.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16.9%), 숙박·음식점업(16.3%)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 종사자 수 증가 기여율은 제조업(24.2%), 도·소매업(17.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5.7%) 순이었다.

종사자규모별 사업체 수를 보면, 작년 말 기준으로 1년 전보다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5∼99인’으로 1년 전보다 5.4% 증가했다. 이 구간에서 종사자 수 증가 폭도 4.1%로 가장 컸다.

종사자 규모 ‘100∼299인’과 ‘1∼4인’인 사업체 수도 각각 1.7%와 1.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삼규 통계청 경제총조사과장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창업 전선에 뛰어들면서 50대가 대표자인 사업체, 중소 규모 사업체, 진입 장벽이 낮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사업체 수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여성 종사자 비중 증가…늘어난 사회참여 반영

작년 말 기준 여성 종사자는 804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3.5%(27만3천명), 남성 종사자는 1천104만8천명으로 2.3%(25만2천명) 증가했다.

작년 남성 종사자의 비중은 1년 전보다 0.2%포인트(58.1%→57.9%) 감소한 반면, 여성 종사자는 0.2%포인트(41.9%→42.1%) 높아졌다. 여성의 사회참여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여성 종사자 비중이 남성보다 큰 업종은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78.6%), 숙박·음식점업(64.1%), 교육서비스업(62.2%), 금융·보험업(53.9%) 순이다.

지난해 말 사업체의 여성 대표자 비중은 1년 전과 비교해 숙박·음식점업(-0.6%포인트)과 광업(0.1%포인트)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0.2%포인트 증가했다.

여성 대표자 비중이 큰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63.6%), 교육 서비스업(53.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5.0%) 순이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작년 말 기준 상용근로자는 전년보다 5.3%(1천158만명→1천218만8천명),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0.7%(370만5천명→373만3천명) 증가했다.

반면, 임시·일용근로자는 3.6%(241만2천명→232만4천명), 기타종사자는 2.6%(87만1천명→84만9천명) 감소했다.

오 과장은 임시·일용근로자가 감소한 데 대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상당 부분 이뤄졌고, 건설 경기가 좋지 않아 외국인 취업자가 줄어든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조직 형태별로는 회사법인이 전년보다 7.4%(42만5천개→45만7천개)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컸다. 회사 외의 법인은 5.0%(9만9천개→10만5천개), 비법인단체 3.1%(12만6천개→13만개), 개인사업체 1.2%(295만2천개→367만9천개) 늘었다.

사업체와 종사자 수 모두 세종시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작년 말 기준으로 세종시의 사업체 수, 종사자 수는 1년 전보다 각각 12.7%, 21.4% 증가했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사업체 수는 173만7천개, 종사자 수는 968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6%(2만8천개), 2.5%(23만4천명) 증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