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건설업은 수주 상황 따라 인력 요동치는데…

건설업은 수주 상황 따라 인력 요동치는데…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7-05-30 22:28
업데이트 2017-05-30 2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감 따라 경기 따라 편차 심해… 일괄 전환 땐 채용 기피 우려도

“항상 필요한 인력인데 비정규직으로 계속 놔두는 것은 문제가 있죠. 하지만 아파트 공사 같은 경우는 올해 일이 많다가도 내년에 일이 없을 수도 있는데 모두 정규직으로 고용하라고 하면 사업이 불가능합니다. 업종별 특성을 감안해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는 것이 오히려 속이 편할 것 같습니다.”(A건설사 관계자)
이미지 확대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건설업계가 눈치 모드에 들어갔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30일 “새 정부가 상황판까지 만들어 가며 정규직 전환을 독려하고 있어 상황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면서도 “정부가 원하는 수준의 정규직 전환이 가능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비정규직 비율은 평균 52%로 다른 업종에 비해 상당히 높다. 그나마 상황이 낫다고 하는 대형 건설사들도 대부분 30%가 비정규직이다. 이는 건설사들의 인력 운영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수주 상황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인력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실제 해외 건설의 경우 수주 상황에 따라 인력 상황이 요동친다. 652억 달러의 해외 수주고를 올리며 사업 현장이 늘던 2013년 해외건설 현장에 나간 인력은 2만 5441명에 달했지만, 282억 달러에 그친 지난해는 상반기 기준 1만 8839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해외 건설의 경우 프로젝트를 따는 순간 국내외에서 필요한 인력이 모였다가 사업이 끝나면 흩어지는 구조”라면서 “경기가 좋을 때 단기 채용한 인력이 통계상으로 비정규직으로 잡혀 상대적으로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사업도 마찬가지다. 주택사업이 중심인 B건설사는 아파트 건설 공사가 적었던 2013년에는 비정규직 비율이 27.3%였지만, 최근 공사 현장이 늘면서 40.4%까지 늘어났다.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 현장이 늘면서 단기간 필요한 기술자와 관리 인력을 계약직으로 채용하다 보니 비정규직 비율이 늘어난 것”이라면서 “항상 필요한 인력을 꼼수로 비정규직을 늘린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획일적으로 정규직 비율을 강제할 경우 건설사들이 채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정규직을 몇 퍼센트 이상 유지할 것을 강제하기 보다 수주 산업의 경우 특성을 반영해 편법적인 비정규직 확대가 없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5-31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