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당시보다 20대 고용률만 낮아

금융위기 당시보다 20대 고용률만 낮아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1-06 22:44
업데이트 2019-01-07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대 고용률만 금융위기 당시 고용률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연구원이 6일 발표한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다른 연령대의 고용률은 오른 반면 20대 고용률만 하락했다. 20대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 평균 57.8%로, 2008년(59.4%), 2009년(58.4%)보다 낮다.

고용률은 취업자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생산가능인구가 늘면 고용률은 낮아질 수 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 2000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 5000여명 늘었다. 이런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자녀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30대 고용률은 2008년 73.0%, 2009년 71.4%였다가 2017년 75.3%로 올랐다. 지난해 1~10월 평균 고용률도 75.7%다. 2017년 40대 고용률(79.4%)도 2008년(78.4%) 수준을 웃돈다. 특히 60대는 고령층 인구 증가와 건강상태 개선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김주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 시절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에 실패하면 장기 빈곤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에코 세대가 노동시장에 본격 진입하는 향후 몇 년이 중대한 시점임을 감안해 적극적인 청년 고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1-0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