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도 안 팔린다

만들어도 안 팔린다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02-11 18:00
업데이트 2019-02-12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12월 제조업 재고비율 116%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아
“수출 둔화에 미·중 무역전쟁 영향”
이미지 확대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출 전선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12월 제조업 출하 대비 재고 비율(재고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고율 상승으로 노는 공장이 늘어나면서 일자리 창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1일 통계청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제조업 재고율은 116.0%로 외환위기가 닥쳤던 1998년 9월 122.9%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1월 110.0%였던 제조업 재고율은 10월 106.9%로 떨어졌지만, 11월 111.7%로 4.8% 포인트 뛰더니 12월에는 4.3% 포인트 오르며 급증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12월 수출이 1년 전보다 1.3% 줄어든 데 이어 올 1월에도 5.8%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재고율 상승은 수요가 부진한 경제 상황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중 무역분쟁으로 글로벌 교역이 주춤해 재고가 쌓이는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지난해 12월 자동차 제조업 출하가 한 달 전보다 7.1% 감소하고 재고가 6.5% 늘었다. 또 반도체 제조업 출하도 5.1% 줄고 재고는 3.8% 늘었다. 철강과 같은 1차 금속의 출하는 2.5% 줄고, 재고는 3.2% 증가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의 경우 수요가 줄어든 것보다 국내 생산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서명했다.

문제는 재고율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공장 가동을 줄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2개월 연속 떨어지며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내 제조업 재고율과 가동률은 수출과 연관이 깊은데 올해 수출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이고, 여기에 최근 제조업 경쟁력 하락이 재고율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상황이 바뀌기가 쉽지 않다”면서 “이럴 경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02-12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