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에 풀린 일본계 자금 17조 넘어

서민금융에 풀린 일본계 자금 17조 넘어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7-29 22:02
업데이트 2019-07-30 09: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은행·대부업계 여신의 22.7% 달해“…日 금융으로 보복 확대땐 영향권” 우려

저축은행과 대부업계 등 국내 서민금융시장에 풀린 일본계 자금이 17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이 금융 분야로 보복 조치를 확대하면 취약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금융감독원이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과 민중당 김종훈 의원에게 제출한 ‘일본계 금융사 여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일본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국내 대출은 17조 4102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여신(76조 5468억원)의 22.7%가 일본계 대출이었다.

특히 대부업계에서는 지난해 말 기준 일본계가 6조 6755억원으로 전체 대부업 여신(17조 3487억원)의 38.5%에 달했다. 일본계 저축은행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11조원를 빌려줘 저축은행업계 전체(59조 6000억원)의 18.5%였다.

다른 금융업권은 상대적으로 일본계 자금 비중이 낮아 자금이 빠져나가도 위험이 낮은 편이다. 지난 5월 말 기준 일본계 은행의 국내 지점의 총여신은 24조 7000억원으로 국내 은행 총여신 1983조원(3월 말 기준)의 1.2%에 그친다.

반면 일본계 자금은 일본보다 높은 이율에 돈을 빌려줄 수 있는 국내 대부업계에 진출한 뒤 저축은행 사태로 부실화된 저축은행들도 인수하며 영향력을 키운 상태다. 일본계가 대주주인 SBI저축은행은 대출이 6조 456억원으로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1위다. 나머지 3곳인 JT친애(8위), OSB(9위), JT(18위) 등도 상위권이다.

서민금융시장에서 일본계 자금이 급격하게 돈줄을 조이면 급전을 구하는 서민들에게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부업계 1위이자 일본계인 산와머니는 지난해부터 ‘한국 철수설’이 흘러나오더니 지난 3월부터는 신규대출을 받지 않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본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가 영업자금의 대부분을 국내에서 직접 조달하고 있고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 견제 장치가 있다”면서 “일본계가 대출을 중단해도 국내 업체로 대체가 가능하며 산와머니는 일본 경제 제재와 무관한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신규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7-30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