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 근무자, 담배 끊기 어렵다…금연 실패 확률 3.3배”

“밤샘 근무자, 담배 끊기 어렵다…금연 실패 확률 3.3배”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9-01 10:50
업데이트 2019-09-01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간에 근무하는 20~30대, 10명 중 9명 금연 실패

야간에 근무하는 남성의 금연 실패 확률이 주간 근무자의 3.3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밤에 근무하는 20~30대 젊은 남성은 10명 중 9명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명준표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5년) 자료를 활용해 평생 1회 이상 금연 시도 경험이 있는 남성 근로자 4천927명의 응답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진은 남성 근로자를 19~40세 군과 41~60세 군으로 나눈 뒤 근무 형태(주간·저녁·야간·교대)에 따른 금연 실패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야간 근무자의 금연 실패율이 높았다. 외부 요인을 모두 보정한 결과 야간에 고정 근무하는 남성의 금연 실패율은 주간 근무 남성의 3.3배에 달했다.

19~40세 야간 근무자의 금연 실패율이 90.4%로 가장 높았다.

반면 41~60세 중장년층 주간 근무자 금연 실패율은 45.6%로 나이·근무 형태를 통틀어 가장 낮았다.

단 중장년층에서도 야간에 근무하는 남성의 금연 실패율이 73.2%로 같은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진은 야간 근무자의 금연 실패 원인으로 업무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 단절, 수면 부족 등을 꼽았다.

김 교수는 “야간 근무자들은 주간 근무자보다 금연하기 어려운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며 “(가족, 친구 등)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면서 담배를 끊는데 필요한 정서적 지지가 부족해지는 게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야간 근무로 인해 질 높은 수면이 어려워지는 것도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개 수면이 부족해지면 체내 생체리듬이 교란돼 중독 의존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는 ‘직업의학과 독성학’(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Toxicology, 8월 5일자)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