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불경기에 울산 개인소득 뒷걸음질…서울 1위, 전남 꼴찌

제조업 불경기에 울산 개인소득 뒷걸음질…서울 1위, 전남 꼴찌

장은석 기자
입력 2019-12-23 14:39
업데이트 2019-12-23 1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울산시 동구에 있는 현대중공업의 골리앗 크레인.  현대중공업 제공
울산시 동구에 있는 현대중공업의 골리앗 크레인.
현대중공업 제공
최근 계속된 제조업의 불황으로 시도별 1인당 개인소득 순위에서 1위를 도맡았던 울산의 개인소득이 지난해 뒷걸음질 쳤다. 울산은 2016년 1위에서 지난해 서울에 1위를 내주더니 지난해에도 2위에 그쳤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8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중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2326만원)이었다. 게인소득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다. 서울의 1인당 개인소득은 2017년에도 2224만원으로 전국에서 최고였다.

2016년 1위였던 울산은 지역 주력 산업인 조선업 부진 등의 영향으로 2017년 서울에 밀리더니 지난해에도 2167만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세종(2061만원)이었다. 1~3위인 서울과 울산, 세종 3곳만 전국 평균(1989만원)을 넘었다.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적은 곳은 전남으로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1805만원으로 서울보다 520만원이나 적었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 개인소득 증가율은 세종이 9.0%로 1위였고 전북(4.9%)과 제주(4.8%)가 뒤를 이었다. 울산은 -2.7%로 하락폭이 가장 컸고 대구(-0.8%), 대전(0.0%)도 하위권이었다.

소득이 줄어든 울산에서는 소비도 줄었다. 실질 민간소비는 전국 평균 2.7% 증가했는데 울산(-0.7%)만 감소했다.

17개 시도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2.8%로 2015년(2.8%) 이후 가장 낮았다. 제주와 경북은 각 1.7%, 1.1% 하락했고 울산은 보합이었다. 충북(6.3%)과 광주(5.2%) 경기(4.9%) 등은 성장률이 높았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