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업실적 저하 심각…금융위기보다 심하다”

“작년 기업실적 저하 심각…금융위기보다 심하다”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0-01-09 17:14
업데이트 2020-01-09 1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기업평가, “올해 신용등급 전망 긍정적 산업 분야 없다”

신용평가업체 한국기업평가는 지난해 국내 기업 실적이 크게 나빠지면서 금융위기 때보다 더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송태준 한국기업평가 평가기준실장은 9일 ‘2020년 주요 산업 전망 및 신용등급 방향성 점검’이라는 주제 세미나에서 “지난해 신용등급 하락 우위의 강도가 심해졌다”며 “그 배경은 무엇보다도 예상을 뛰어넘는 기업 실적 저하”라고 말했다. 송 실장은 “지난해 상장기업 매출이 정체된 가운데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며 “금융위기 때도 기업 실적이 이 정도까지 나빠지지는 않았으며 이는 매우 이례적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장기업의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40%가량 감소했다”며 “최근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도 연간 누적 영업이익이 반 토막 났다”고 설명했다.

한국기업평가가 지난해 신용등급을 높인 기업은 12곳에 그쳤으나 낮춘 기업은 21곳이나 됐다. 이에 따라 등급 상승 기업 수를 하락 기업 수로 나눈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은 0.51배를 기록해 1을 밑돌았다.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은 2015년 0.16배를 기록한 후 2016년(0.45배), 2017년(0.63배), 2018년(0.88배) 등 3년 연속 상승했으나 지난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이 1을 밑도는 현상은 2013년(0.54배)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이어졌다.

송 실장은 “7년째 신용등급이 떨어진 기업이 오른 기업보다 많았는데 이는 과거에 보지 못했던 현상”이라며 “한국 경제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라고 지적했다. 올해 신용등급 전망에 대해서는 전체 28개 산업 분야 가운데 24개는 중립적, 4개는 부정적이며 긍정적인 분야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인 분야는 생명보험과 부동산 신탁, 디스플레이, 소매 유통 등이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