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실질금리 인하에는 인구 고령화도 한몫”

한은 “실질금리 인하에는 인구 고령화도 한몫”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1-13 13:52
업데이트 2020-01-13 1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화 비율 9.6%→19.4%, 실질금리 9.0%→0.4%
저축 늘면서 금리 하락, 청년 인구 감소로 성장률 하락
실질금리 인하에 인구 고령화가 한 몫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3일 발간한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고령화 비율이 높아지면서 1995년~2018년까지 23년간 실질금리를 3% 포인트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이다.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상승했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에는 0.4%로 하락했다. 이 가운데 인구 고령화로 인한 하락분은 3.0% 포인트로 전체 하락 수치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 권오익·김명현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저축률이 높아지면 금리는 낮아지고, 저출산에 청년 인구가 줄면서 잠재성장률은 하락한다. 두 가지 모두 금리가 떨어지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실질금리 하락분이 2% 포인트라면, 인구 증가율 변화에 따른 낙폭은 1%포인트로 분석됐다.

아울러 권오익·김명현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앞으로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는 현재 수준보다 더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실질금리 하락을 주도하는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데도 한계가 있는 만큼 실질금리의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