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믿을 수가 있어야지”…5년간 관련 상담 4만건

“중고차 믿을 수가 있어야지”…5년간 관련 상담 4만건

유대근 기자
입력 2020-10-09 15:46
업데이트 2020-10-09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해구제된 건은 947건 불과
차량 상태 불신 탓 중고차 이미지 ↓
홍성국 의원 “공인인증기관 설립해야”
이미지 확대
서울 장안동 중고차 시장 모습. 2018.9.26 연합뉴스
서울 장안동 중고차 시장 모습. 2018.9.26
연합뉴스
중고차를 샀다가 차량 상태 불량 등 피해를 봐 한국소비자원에 상담받은 건수가 최근 5년간 4만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차’라고 하면 뭔가 찜찜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뿌리 깊은 불신을 걷어내려면 공인 인증 기관 설립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실이 소비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중고차 관련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들어온 중고차 관련 상담 건수는 모두 4만 3093건에 달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피해구제된 건은 2.2%인 947건에 불과했다.

차량 상태 등에 대한 불만은 중고차 시장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들은 중고차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는 이유로 ‘차량 상태 불신’(49.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허위·미끼 매물 다수’(25.3%), ‘낮은 가성비’(11.1%), ‘판매자 불신’(7.2%) 순이었다.

중고차에 대한 불신 탓에 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해 새차를 선호하는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홍 의원실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중고차가 신차보다 2.4배 가량 많이 팔렸고, 독일에서는 2.0배 판매량이 많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2배 많이 팔리는데 그쳤다.

홍 의원은 “미국 중고차 시장의 경우 신차와 중고차를 모두 판매하는 완성차 인증 중고차, 중고차만 판매하는 독립 딜러, 중고차 알선업체가 세분화 돼 있어 대형업체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해 상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또 “완성차 브랜드의 중고차 시장 진출을 비롯해 중고차 공인 인증기관을 설립해 인증과 보증, 적정 시세가 보장돼 중고차 시장 규모를 키우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