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 수 6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42만 1천명 줄어

10월 취업자 수 6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42만 1천명 줄어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11-11 09:10
업데이트 2020-11-11 09: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 19 재확산이 계속되고 있는 23일 서울 명동거리의 한 매장에 코로나 19로 인해 임시휴업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8.23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코로나 19 재확산이 계속되고 있는 23일 서울 명동거리의 한 매장에 코로나 19로 인해 임시휴업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8.23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실업률 3.7%…10월 기준 2000년 이후 최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고용 한파로 10월 취업자 수가 6개월 만에 가장 크게 줄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8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42만 1000명 감소했다.

이는 지난 4월(-47만 6000명)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또한 감소폭이 두 달째 확대된 흐름이다.

취업자 수는 3월(-19만 5000명), 4월(-47만 6000명), 5월(-39만 2000명), 6월(-35만 2000명), 7월(-27만 7000명), 8월(-27만 4000명), 9월(-39만 2000명)에 이어 8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 2009년 1∼8월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제조업에서 감소폭이 확대됐다”면서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조정된 영향으로 교육 서비스, 도소매에서 감소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은 취업자가 37만 5000명 늘었으나 30대(-24만명), 20대(-21만명), 40대(-19만 2000명), 50대(-11만 4000명)는 모두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2만 7000명), 도·소매업(-18만 8000명), 교육서비스업(-10만 3000명) 등에서 줄어들었다.

반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2만 3000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0만 5000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6만 2000명) 등에서는 늘어났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30만 6000명 줄었고 비임금근로자가 11만 5000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만 4000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26만 1000명)와 일용근로자(-5만 9000명)가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줄었다. 2012년 10월(60.3%) 이후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102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 4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10월 기준으로 2000년 10월(3.7%) 이후 가장 높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000673만 6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0만 8000명 늘었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35만 9000명이었다.

‘쉬었음’ 인구는 50대(4000명↓)를 제외한 20대(7만 1000명↑), 30대(5만 7000명↑), 40대(5만 6000명↑), 60세 이상(6만 3000명↑) 등에서 모두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61만 7000명으로 11만 2000명 늘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