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꽁꽁 닫힌 지갑 “가계저축률 21년래 최고”

코로나에 꽁꽁 닫힌 지갑 “가계저축률 21년래 최고”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11-29 17:58
업데이트 2020-11-30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10%대 상승 전망… 소비 부진 우려

올해 가계저축률이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계저축률 상승은 긍정적 영향도 있지만 고착화되면 소비 부진을 불러올 수도 있다.

한국은행 조사국 이용대 과장과 이채현 조사역은 29일 한은 조사통계월보에서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가계저축률 상승 고착화 가능성을 진단했다. 국내 가계저축률은 1988년 23.9%로 정점을 찍은 뒤 소비지출 구조 변화와 연금제도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내리막을 탔다. 2002년에는 0.1%까지 낮아졌다. 경제 위기가 발생했을 땐 일시적으로 크게 상승하기도 했다. 외환위기 여파로 1997년 13.1%에서 1998년 20.4%로 급격히 올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산 이후 단기적으로 소비가 위축돼 가계저축률이 10% 안팎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한은은 전망했다. 지난해(6.0%)보다 4% 포인트 높은 수치다. 연간 가계저축률이 10%를 넘었던 때는 1999년(13.2%)이 마지막이었다. 이 과장은 “가계저축률 상승은 소비 부진의 장기화를 부를 수 있고, 거시경제 정책의 내수 부양 효과도 약화시킬 수 있다”며 “저성장·저물가·저금리 현상이 새로운 기준(뉴노멀)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11-30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