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역대급 ‘어닝쇼크’ 전망에도 불황 탈출 기대감

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역대급 ‘어닝쇼크’ 전망에도 불황 탈출 기대감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3-04-03 17:04
업데이트 2023-04-03 17: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마이크론, 최악 실적에도 주가 급등
옴디아 “1분기 저점 찍고 회복세 시작”

이미지 확대
D램 반도체
D램 반도체 D램 반도체. 서울신문DB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 ‘어닝쇼크’(실적충격) 수준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고된 가운데 이번 실적이 길었던 불황의 ‘바닥’이 될 거란 기대감도 지펴지고 있다. 지난해 과잉 공급됐던 메모리 반도체 재고가 2분기부터 안정기에 접어들고, 인공지능(AI) 반도체와 기업 서버 수요 증가 등이 맞물리며 업황이 다시 상승 국면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관측이 속속 이어지면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7일 1분기 잠정 실적을 공개하는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급락이 유력한 상황이다. 최근 한 달 새 발표된 증권사 실적 전망(컨센서스) 집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7201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14조 1214억원) 대비 94.9% 하락한 수준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4조 3061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 가운데 메모리 한파 직격타를 맞고 있는 반도체(DS) 부문은 4조원대 규모의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달 말 확정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삼성이 기존 입장을 뒤집고 ‘인위적 감산’을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매출 4조 9757억원, 영업손실 3조 477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은 1조 8984억원이었다.

두 기업 모두 각각 4조원에 달하는 손실이 우려되지만 업계에서는 ‘1분기에 바닥을 찍고 반등할 일만 남았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우선 최근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하고도 주가는 급등한 미국 마이크론의 사례를 주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6월 말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3나노 반도체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주역들이 손가락으로 ‘3’을 나타내며 세계 첫 3나노 파운드리 양산 성공을 자축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지난해 6월 말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에서 3나노 반도체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주역들이 손가락으로 ‘3’을 나타내며 세계 첫 3나노 파운드리 양산 성공을 자축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글로벌 D램 점유율 3위 기업인 마이크론은 1·2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바로미터’로 여겨지는데, 이 기업은 지난달 28일 23억 300만 달러(약 3조 272억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했지만 최근 주가는 7% 이상 올랐다. 1분기를 메모리 반도체 불황의 저점으로 보고 다시 반도체 기업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도 최근 D램 시장 분석 자료에서 시장 규모(합산 매출)가 1분기 96억 7000만 달러로 저점을 찍은 뒤 2분기 100억 9600만 달러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롤러코스터를 타고 급강하한 메모리 업황이 오는 2분기와 3분기를 넘어가며 개선세를 보이면서 우리 기업의 실적 회복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