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물가상승률 2.3%로 2년만에 최저치···석유 가격 역대 최대폭 하락

7월 물가상승률 2.3%로 2년만에 최저치···석유 가격 역대 최대폭 하락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8-02 16:50
업데이트 2023-08-02 16: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7월 물가상승률 2.3% 발표
25개월만에 최저치···외식 물가도 둔화
폭우로 농산물 가격 상승했지만 영향 미미
석유류 25% 하락··집계 이후 역대 최대폭

이미지 확대
소비자물가 상승 추이
소비자물가 상승 추이
통계청이 2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1.20(2020=100)으로 1년 전에 비해 2.3% 상승했다고 밝혔다. 2021년 6월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다. 6월 2.7%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이 유지됐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석유류 가격이 안정되며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다.

지난달 폭우 여파로 채소류 물가가 6월보다 7.1% 상승했지만 석유류의 하락폭이 이끄는 전체 물가 하향 추세를 뒤집을 정도의 파괴력은 없었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전년동월 대비 25.9% 하락해 통계를 집계한 1985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석유류로 인해 전체 물가 상승률 역시 1.49% 포인트나 떨어졌다.

체감도가 큰 외식 물가 등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4.7%15개월 만에 4%대로 내려갔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지난해 10월 6.4%를 찍었던 정점 시기에 비하면 둔화세가 완연해졌다.

이에 따라 근원물가지수의 상승폭도 한결 완만해졌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9% 상승해 지난해 4월(3.6%) 이후 처음으로 3%대를 기록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역시 3.3% 상승하는 데 그쳐 15개월만에 상승폭이 가장 낮았다. 근원물가지수는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지수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 보통 2~3주 후 국내 물가에 반영되는 측면이 있다”며 “최근 국제 유가가 다시 상승하고 있어 8월부터 향후 1~2개월 동안은 물가 상승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세종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