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떼 뛰노는 호주 땅 밑엔… 여의도 2배 면적 ‘CCS 실험실’

소떼 뛰노는 호주 땅 밑엔… 여의도 2배 면적 ‘CCS 실험실’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8-17 00:03
업데이트 2023-08-17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최대 ‘CCS 실증센터’ 가다

탄소 9만 5000t 지하에 저장·관리
주민·환경단체와 모니터링 공유
SK E&S 등과 업무협약도 체결

이미지 확대
호주 빅토리아주에 있는 ‘오트웨이 국제 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센터’로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파이프라인들. 그 뒤로는 초원에서 소떼가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다.
호주 빅토리아주에 있는 ‘오트웨이 국제 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센터’로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파이프라인들. 그 뒤로는 초원에서 소떼가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다.
“지하 2000m의 고갈가스전과 대염수층(염수를 포함한 지하 지층)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는 매우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가스전은 수백만년 동안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지질에 위치한 데다 그 위에는 누출을 막는 덮개 역할을 하는 지층도 몇 겹으로 쌓여 있습니다.”

지난 15일 호주 ‘오트웨이 국제 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센터(OITC)’를 방문한 기자를 현장으로 안내하던 폴 배러클러프 최고운영책임자(COO)의 설명이다.
이미지 확대
폴 배러클러프 최고운영책임자(COO)
폴 배러클러프 최고운영책임자(COO)
멜버른에서 서쪽으로 차로 3시간 남짓 달려야 도착하는 한적한 시골에 자리한 오트웨이 실증센터. 소떼가 풀을 뜯는 푸른 초원 아래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가두는 저장고가 숨어 있다. 호주 국책 연구기관인 CO2CRC가 2004년부터 20년째 운영하는 이곳은 여의도 면적의 약 두 배인 4.5㎢로, 세계 최대 규모다.

이곳은 CCS 실증센터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약 2㎞ 떨어진 인근에서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데다 지하에는 그동안 안전하게 천연가스를 저장했으나 가스를 다 뽑고 텅 빈 고갈가스전과 대염수층도 있기 때문이다. 인근의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매설한 파이프라인으로 끌고 와 지하 저장소인 고갈가스전과 대염수층에 주입하는 구조다. 배러클러프 COO는 “고갈된 가스전 위에 있는 두껍고 단단한 암석층이 일종의 마개 역할을 한다”며 “이산화탄소는 누출되더라도 석유나 가스와는 달리 불도 붙지 않고 비교적 다루기 쉽다”고 강조했다.

실증센터는 2008년부터 주입한 이산화탄소 9만 5000t을 관리하고 있다. 단순히 주입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에 저장된 대용량의 이산화탄소 흐름과 지중 압력 등을 관측하는 것이 특징이다. 모니터링 결과뿐 아니라 현안도 매년 3월 주민과 환경단체들을 초대해 공유하고 설명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 글로벌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CCS 기술이 없다면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한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CCS 기술 기여도를 총감축량의 18% 수준으로 제시한 바 있다. 단일 기술로는 탄소 감축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수치다.

오트웨이 실증센터에는 호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글로벌 기업과 연구기관들의 기술 고도화 투자와 협업도 이어지고 있다. CO2CRC는 지난해 2월 SK E&S를 비롯해 한국 K-CCUS추진단, 한국무역보험공사와 CCS 사업 협력 관련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박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CCS 기술을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것은 글로벌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산화탄소 저장 기술을 고도화하려는 것”이라며 “우리가 개발한 기술들도 현장 적용을 위해 여기에서 실증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오트웨이 이기철 선임기자
2023-08-17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