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생산·탄소포집 함께…“에너지 자원 개발의 혁신”

가스생산·탄소포집 함께…“에너지 자원 개발의 혁신”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8-21 02:13
업데이트 2023-08-21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주 다윈 LNG터미널 가 보니

천연가스 정제 과정서 탄소 분리
고갈된 가스전에 연 200만t 저장
파이프라인 재활용·일자리 창출
韓기업 유일 SK E&S 1.5조원 투자
호주 정부도 “계속 지원” 기대감


이미지 확대
호주 북준주 ‘다윈 LNG 터미널’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포집용 재생탑. 재생탑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물질인 ‘아민’을 재활용하고 있다. SK E&S 제공
호주 북준주 ‘다윈 LNG 터미널’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포집용 재생탑. 재생탑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물질인 ‘아민’을 재활용하고 있다.
SK E&S 제공
지난 16일 호주 북준주 주도 다윈 시내에서 버스로 40분가량 달리자 마주한 거대한 탱크와 철제 구조물. 다윈 LNG(액화천연가스) 터미널이다. 바다와 접한 70ha(21만여평)의 시설에는 다양한 굵기의 파이프라인이 그물처럼 얽혀 있었다. 공장 내부 배관 길이는 200㎞에 이른다. 공장에 들어서자 ‘윙윙’ ‘웅웅’하는 소리가 귀를 때렸다. 투어 전 회사 관계자들이 안전모와 고글은 물론 소음 차단 귀마개를 착용하라고 강조한 이유를 알 듯했다.

다윈 LNG터미널은 북서부 바다로 500㎞ 떨어진 동티모르의 바유운단 가스전에서 생산한 가스를 파이프라인으로 이송해 와 천연가스에 포함된 6%가량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액화하는 공장이자 선박에 실어 수출하는 곳이다. 터미널 운영사인 호주 에너지기업 산토스의 리처드 힝클리 개발총괄 담당 이사는 “흡수제 아민을 이용해 연간 6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며 “과거 20년 동안 분리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곳이 없어 연소시켜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한쪽에서는 시설 공사가 한창이었다. 분리·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모아 바유운단 가스전에 저장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을 연결하는 작업이다. 바유운단 가스전은 이르면 연말쯤 고갈된다.

SK E&S가 1조 5000억원(지분 37.5%)을 투자한 바로사 가스전은 2025년쯤 상업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다윈에서부터 북쪽으로 380㎞ 떨어진 바다에서 추출한 가스를 정제하는 과정 중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바유운단 고갈 가스전에 저장하는 이른바 ‘바로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바유운단 가스전에는 이산화탄소를 연 1000만t씩 25년 동안 넣을 수 있다. 힝클리 이사는 “바유운단의 가스 파이프라인이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배관으로 재활용된다”고 말했다. 하워드 스미스 북준주 CCS(탄소 포집·저장) 담당 부장은 “가스전이 고갈되면 일자리가 사라져야 하지만 재활용하면서 다윈뿐 아니라 동티모르에서도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말했다.

SK E&S는 이런 CCS 사업을 위해 2020년 다윈 LNG터미널 지분 25%를 인수했다. 바로사 가스를 LNG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 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 바유운단 고갈 가스전에 저장한다. LNG 생산과 동시에 인근에 거대한 이산화탄소 저장고를 확보해 CCS를 하는 것으로 에너지 자원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에너지 업계에서 혁신적 사례로 꼽히는 이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은 SK E&S가 유일하다. 국내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도 전용 선박을 통해 바유운단 가스전에 저장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니콜 매니슨 호주 북준주 부총리
니콜 매니슨 호주 북준주 부총리
프로젝트에 대한 호주 정부의 기대감도 느낄 수 있었다. 니콜 매니슨 북준주 부총리는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의 ‘중간 단계’로 천연가스와 CCS가 중요하다”며 “한국이 깊이 연관된 바로사 프로젝트는 향후 수십년간 많은 경제적 가치와 고용을 창출할 것이기에 북준주는 계속 지원하고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윈 이기철 선임기자
2023-08-21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