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국방과학연구소와 항공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등 제작 계약

두산에너빌리티, 국방과학연구소와 항공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등 제작 계약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3-08-21 14:43
업데이트 2023-08-21 1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두산에너빌리티 직원들이 2019년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제공
두산에너빌리티 직원들이 2019년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제공
두산에너빌리티는 21일 국방과학연구소와 항공기 터빈에 들어가는 블레이드와 베인 등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7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에 공급할 예정인 이들 부품은 가스터빈 엔진의 핵심부품으로 분류된다. 블레이드는 중심축에 연결돼 같이 회전하는 날개를 말하며 블레이드 사이에 고정된 날개를 베인이라고 하는데 블레이드 통과 후 흩어진 기류를 다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계약은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기용 터보팬 엔진 요소기술 개발’ 과제 일환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6월 국방과학연구소와 해당 항공용 터보팬 엔진 레이아웃 설계와 구성품 해석 용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항공기 가스터빈 엔진은 터보제트∙터보팬∙터보샤프트∙터보프롭 엔진 등으로 나뉘며 대부분 항공기는 터보팬 엔진 방식을 채택 중이다. 터보팬 엔진은 공기를 흡입하는 1개의 팬과 2개의 기류가 있다. 하나의 기류는 연소실을 통과하고 나머지 기류는 연소실 바깥쪽으로 흐른다.

항공용과 발전용 가스터빈은 동일한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 원리와 구조가 유사하다. 항공용 가스터빈은 비행체의 추력 확보가 주목적으로, 고출력, 경량화, 작동유연성이 설계의 핵심이다. 발전용 가스터빈은 고효율, 고출력, 안정성을 목적으로 항공용 대비 더욱 대형화됐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세계 5번째로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항공용 가스터빈 개발에도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훈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