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엔무브가 델·GRC와 맞잡은 ‘액침냉각’, 전기차 ‘발열 폭주’ 잡을까

SK엔무브가 델·GRC와 맞잡은 ‘액침냉각’, 전기차 ‘발열 폭주’ 잡을까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8-23 14:52
업데이트 2023-08-23 1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사,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MOU 체결
액침냉각 기술 확보와 시장 확대 목표
ESS·전기차 열관리 사업 영역 확대도

이미지 확대
박상규(왼쪽부터) SK엔무브 사장, 피터 마스 델 테크놀로지스 아태지역 총괄사장, 피터 폴린 GRC CEO가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에서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악’을 맺고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박상규(왼쪽부터) SK엔무브 사장, 피터 마스 델 테크놀로지스 아태지역 총괄사장, 피터 폴린 GRC CEO가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에서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악’을 맺고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전기차 배터리의 발열 폭주 현상을 액침냉각 시스템으로 진정시킬 수 있을까. SK엔무브가 데이터센터 액침 냉각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고자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SK엔무브가 전날 업무협약을 맺은 IT 기업은 미국 PC 제조 및 IT 솔루션 기업인 델 테크놀로지스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스템 전문기업 GRC다. 액침냉각 기술 개발과 수요 확대가 주요 목표다.

이들 3사의 역할은 나눠졌다. SK엔무브는 고품질 윤활기유를 활용한 액침냉각 시스템 전용유를 개발하고, 델 테크놀로지스와 GRC는 각각 액침냉각 전용 서버와 액침냉각 시스템을 맡아 액침냉각 시스템 표준화에 필요한 기술 및 부품 개발에 협력한다. 또 액침냉각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홍보·판매 활동을 공동으로 추진해 글로벌 고객을 확보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은 냉각유에 데이터서버를 직접 침전시켜 냉각하는 차세대 열관리 기술이다. 기존의 공랭식 대비 냉각효율이 뛰어나 데이터센터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퓨처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전세계 액침냉각 시장규모는 2022년 약 3억 3000만달러(4400억원)에서 2032년 21억달러(2조 8000억원)까지 연평균 21.5% 수준의 성장이 전망되는 분야다.

앞서 SK엔무브는 지난해 GRC에 2500만달러의 지분 투자를 통해 공동으로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스템 개발에 공동 참여하고 있다. 향후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용 배터리 열관리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종합 열관리 솔루션 제공사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피터 마스 델 테크놀로지스 아태지역 총괄사장은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환경 구축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고, 피터 폴린 GRC 최고경영자(CEO)는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스템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의 확대로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경제적 비용과 환경적 영향 모두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규 SK엔무브 사장은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전기에너지 사용 영역에서의 열관리 솔루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협업을 통해 액침냉각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전기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효율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