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했던 수준” 파월 연설에 시장 안도했지만 … ‘금리 한번 더 인상’ 힘 실렸다

“예상했던 수준” 파월 연설에 시장 안도했지만 … ‘금리 한번 더 인상’ 힘 실렸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8-26 11:02
업데이트 2023-08-26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월 의장 ‘잭슨홀 미팅’ 기조연설 후 연내 ‘베이비스텝’ 확률 ↑
예상했던 ‘매파’적 연설에 시장 안도, 미 3대 증시 상승 마감
로이터 “파월, 금리 추가 인상 방아쇠에 손가락 올렸다”

이미지 확대
Federal Reserve Powell
Federal Reserve Powell Federal Reserve Chairman Jerome Powell takes a break outside of Jackson Lake Lodge during the Jackson Hole Economic Symposium near Moran in Grand Teton National Park, Wyo., Friday, Aug. 25, 2023. (AP Photo/Amber Baesler)
미 증시가 ‘잭슨홀 미팅’ 이후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위원회(연준) 의장이 잭슨홀 미팅 기조연설에서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입장을 재차 드러냈지만, 기존의 메시지에서 달라지지 않았다고 시장은 해석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지를 남겨둔 데 따라 시장이 ‘금리 인상 종료’의 축포를 쏘아올리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11월이나 12월에 한 차례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을 한층 높게 받아들이고 있다.

美 선물시장서 연내 한차례 ‘베이비스텝’ 확률이 동결 확률 앞서
25일(현지시간) 오후 9시(미 동부 표준시) 현재 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회의(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80%에 달한다. 반면 11월 FOMC에서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이 46.7%로 동결할 확률(44.5%)를 앞서고 있다. 12월에도 기준금리가 현 수준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5.50~5.75%일 확률이 45.2%로 현 수준일 확률(44.5%)보다 높았다.

이날 파월 연준 의장은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로 열린 경제정책 심포지엄 개막 연설에서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우리는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며 매파적인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에서 낮아진 것은 환영할 만한 진전이지만 여전히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때까지 제약적인 수준의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한 주식 중개인이 25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 연방 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중계하는 방송 화면을 뒤로 한 채 일에 열중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한 주식 중개인이 25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 연방 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중계하는 방송 화면을 뒤로 한 채 일에 열중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파월 의장의 이날 연설은 시장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는 게 외신의 평가다. 미국의 7월 물가상승률이 3.2%로 둔화했지만 고강도 긴축에도 여전히 탄탄한 소비와 고용 등 각종 경제지표가 연준의 장기간의 긴축에 힘을 싣는 상황에서, 이날 파월 의장의 연설은 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꺾는 발언을 할 것이라는 시장의 관측과 일치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금리 정책에 대해 “신중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두 차례나 반복하며 지난해의 ‘폭탄 발언’에서 다소 순화된 메시지를 던졌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나스닥 지수는 각각 0.73%, 0.67%, 0.94% 올랐다.

외신·전문가 “파월, ‘임무 달성’ 대신 추가 인상에 힘 실어”
그럼에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지난 7월로 사실상 종료됐다는 기존의 관측은 다소 힘을 잃는 모양새다. 외신과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의 이번 연설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로이터통신은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신호를 보내거나 인플레이션이 더 둔화되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일부의 요구에 고개를 끄덕이지 않았다”면서 파월 의장의 연설이 추가 금리 인상을 쏘아올릴 ‘트리거(방아쇠) 위의 손가락’에 비유했다.

브랜드와인 글로벌의 잭 매킨타이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 CNBC에 “연준이 ‘임무 달성’ 배너를 옷장에 보관하고 있지만, 이번 연설은 연준이 한번 더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동결하는 데 필요한 옵션을 남겨뒀다”고 평가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