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 3745달러…2.6% 반등했다는데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 3745달러…2.6% 반등했다는데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3-05 09:26
업데이트 2024-03-05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목 GDP 2.4% 늘고 원화 가치 안정 영향
민간소비 1.8%↑…2020년 이후 ‘최저치’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 3745달러로 전년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 속 원화 절하 등으로 2022년 1인당 GNI가 7.4% 후퇴했지만 지난해 반등하며 2년 연속 국민소득 감소는 피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 3745달러로 2022년(3만 2886달러)보다 2.6% 늘었다. 원화 기준으로는 4405만 1000원으로 1년 전(4248만 7000원)보다 3.7%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명목 GDP가 2236조 3000억원(달러 기준 1조 7131억 달러)으로 전년보다 각 3.4%(달러 기준 2.4%) 성장한 데다 직전년과 비교해 원·달러 환율도 안정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1인당 GNI는 2017년(3만 1734달러) 처음 3만 달러대에 들어선 뒤 2018년 3만 3564달러까지 늘었다가 코로나19가 발발한 2019년(3만 2204달러)과 2020년(3만 2004달러) 2년 연속 뒷걸음쳤다.

2021년(3만 50523달러) 경기가 살아나고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3% 떨어지면서 3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2022년 급격한 원화 절하와 함께 달러 기준 1인당 GNI도 다시 7.4%나 후퇴했다.

GDP디플레이터는 2022년보다 2.1% 상승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전반적 물가 수준이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총저축률은 전년 대비 0.8%포인트 하락한 33.3%, 국내총투자율은 1.1%포인트 떨어진 31.6%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1.4%로 집계됐다. 4분기 성장률(전 분기 대비 0.6%)에도 변화가 없었다. 민간 소비는 재화 소비가 줄었지만 서비스 소비가 늘어 1.8%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경기 불황이 시작된 2020년(-0.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부문별 성장률은 수정됐다. 4분기 건설투자(-4.5%)는 속보치보다 0.3%포인트 낮아졌고, 수출(3.5%), 수입(1.4%), 설비투자(3.3%)는 각 0.9%포인트, 0.4%포인트, 0.3%포인트 높아졌다.

이미지 확대
1인당 국민소득 자료. 한국은행
1인당 국민소득 자료. 한국은행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