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액티브형 3D TV 패널 양산

삼성전자, 액티브형 3D TV 패널 양산

입력 2010-01-27 00:00
업데이트 2010-01-27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업계최초… 3월 출시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능동형(액티브)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3D) TV 패널 양산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3D TV를 둘러싼 글로벌 가전업체들의 경쟁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는 독자적인 ‘트루(True) 240㎐’ 기술을 적용한 ‘3D 액티브 글래스’ 방식의 초고화질(풀HD급) 40인치, 46인치, 55인치의 3D 액정표시장치(LCD)·발광다이오드(LED) TV용 패널 6종의 양산에 들어갔다고 26일 밝혔다. 실제 제품은 오는 3월쯤 출시된다.

액티브 방식의 240Hz 3D TV용 패널 양산은 업계에서 처음이다. 앞서 지난해 8월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의 ‘수동형(패시브) 글래스’ 방식의 3D 패널을 활용한 3D LCD TV를 이미 시장에 내놨다. 액티브 방식은 안경이 시야를 순간적으로 한 쪽씩 차단, 영상을 양쪽 눈에 시차를 두고 보여주는 방식으로 3D를 구현한다. TV 화면에 편광 필터를 입힌 뒤 편광 안경을 쓰고 보는 패시브 방식보다 입체감이나 해상도 면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다.

세계 3D TV 시장은 지난해 20만대에서 2018년 6400만대 정도로 급성장, 170억달러 정도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액티브 방식이 3D TV 시장의 대세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기 가격은 같은 크기의 일반 LCD·LED TV에 비해 10% 정도 비쌀 전망이다. 그러나 액티브 방식 안경은렌즈에 LCD가 부착돼 있는 형태라 100달러(11만원)에 육박한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1-2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