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엔 언제 출시되나

국내엔 언제 출시되나

입력 2010-04-04 00:00
업데이트 2010-04-04 1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과 함께 연내 출시 유력...해외서 구매해 국내 사용 가능

 애플의 태블릿 PC 아이패드가 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정식 판매에 들어감에 따라 국내 출시 시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아이패드, 너만을 기다렸다”
“아이패드, 너만을 기다렸다” 미국 애플사의 태블릿PC 아이패드가 본격 시판되기 시작한 3일(현지시각) 샌프란시스코의 한 애플 매장에서 고객이 아이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애플 등에 따르면 3일 미국을 시작으로 이달 안에 영국과 독일,일본,호주,캐나다,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스위스 등에서도 아이패드가 정식 출시된다.

 이번에 판매에 들어간 제품은 와이파이(Wi-Fi) 모델로 16기가바이트(GB)가 499달러,32기가는 599달러,64기가는 699달러의 가격이 책정돼 있다.

 추후 출시될 와이파이와 3세대(G)망을 모두 이용가능한 모델은 16기가 629달러,32기가 729달러,64기가 829달러의 가격이 책정됐다.

 일단 애플 측은 미국을 포함한 10개국 외에 아이패드의 정확한 출시 시점을 밝히지 않고 있어 국내 출시 시점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와이파이 모델의 경우 제품 전기안전인증 절차 정도 외에는 법 제도상 별다른 제약이 없다는 점,애플 측이 아이패드 공개시 와이파이 모델은 전 세계에 비슷한 시기에 출시토록 하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아이폰처럼 국내 출시가 해외에 비해 크게 지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에 뒤늦게 도입된 아이폰이 출시 4개월여 만에 50만대 이상이 팔리면서 애플 본사 측도 한국 시장의 성과에 대해 상당히 고무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시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에 아이패드가 가장 빨리 출시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아이패드가 국내에 출시되는 것은 확실시되며,애플 측의 전략에 따라 이마저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정식 국내 출시를 기다리기 어려운 소비자들은 미국 등에서 직접 아이패드를 구매해 사용할 수도 있다.

 아이폰과 같은 휴대전화는 정식 출시 전에는 개인이 수십만원의 비용을 들여 전파연구소의 전파인증 등을 거쳐야 하지만 아이패드 와이파이 모델은 별도 절차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미 일부 네티즌들은 미국의 지인이나 오픈마켓,애플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아이패드를 개인적으로 구매한 뒤 국내 배송을 기다리고 있다.

 일단 현재까지 아이패드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지만 추후 국내에 정식 출시되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어 얼리어답터 등을 중심으로 구입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미국에서 아이패드를 구매해 한국으로 배송할 경우에는 관세와 부가세 등 세금과 배송비가 추가로 들어간다.

 일단 아이패드에 관세가 부가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현행 세법에 따르면 아이팟과 같은 MP3플레이어는 관세가 부과되지만 컴퓨터나 노트북에는 관세가 면제된다.태블릿 PC인 아이패드가 어떤 품목군으로 분류되느냐에 따라 관세 부과 여부가 달라지는 셈이다.

 관세가 면제되더라도 전체 가격의 10% 정도인 부가세는 내야 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아이패드를 구입 해 국내 배송을 의뢰할 경우 원래 가격의 10∼20%에 해당하는 세금과 배송비 등이 추가로 들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