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도 LGU+도 이젠 T맵하세요”

“KT도 LGU+도 이젠 T맵하세요”

입력 2011-11-01 00:00
업데이트 2011-11-01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T 내비 1일부터 개방

국내 대표적 토종 모바일 내비게이션인 ‘T맵’의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하면서 전 이동통신사 가입자에게 개방되는 오픈 플랫폼으로 탈바꿈한다.
이미지 확대


SK플래닛은 1일부터 SK텔레콤 외에 KT와 LG유플러스 가입자에게도 T맵 서비스를 제공하고 KT 아이폰용 T맵도 출시한다고 31일 밝혔다.

2002년 2월 ‘네이트 드라이브’로 선보인 T맵은 뛰어난 ‘경로 추천 알고리즘’ 기술로 사용자의 호평을 받았다. 스마트폰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T맵 서비스 이용자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매달 한 차례 이상 T맵을 쓰는 사용자는 420만명으로 월 사용량은 3000만건에 이른다. SK플래닛에 따르면 9월 한 달 동안 T맵이 안내한 거리는 총 9억㎞로 지구를 약 2만 2500바퀴 돌 수 있는 거리다.

SK플래닛은 T맵의 시장 확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생활형 위치기반서비스(LBS)로 진화하고 있다. 지난 7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기반의 생활정보 서비스 ‘T맵 핫(HOT)’을 출시한 데 이어 T맵의 주변정보 메뉴를 ‘T맵 플레이스’로 개편해 생활 정보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T맵 플레이스는 식당 메뉴·가격 등의 정보와 사진, SNS를 통한 사용자 후기 등을 연계한 기능을 선보이게 된다.

또 휴대전화 기반 서비스 외에도 르노삼성자동차 등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에 전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T맵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2009년에는 세계 최초로 모바일 텔레매틱스(Mobile In Vehicle) 서비스를 출시해 휴대전화로 자동차를 원격 진단·제어하고, 각종 엔터테인먼트와 길 안내, 위치확인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구현했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진단제어 서비스, 차량 감시 및 도난 추적이 가능한 안전보안 서비스 등을 내놓을 방침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11-01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