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LTE-A 관련 특허 세계 1위

LG전자, LTE-A 관련 특허 세계 1위

입력 2013-06-10 00:00
업데이트 2013-06-10 0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 근소한 차이로 2위…미등록 특허 포함하면 삼성이 1위

롱텀에볼루션(LTE) 특허 보유 숫자가 세계 최고인 것으로 평가받은 LG전자가 LTE어드밴스트(LTE-A) 관련 등록 특허의 건수도 세계 선두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특허전문 컨설팅 기관인 테크IPM은 LTE-A 기술에 들어맞는지 비교 검토를 마친 등록 특허 182건 중 LG전자 보유 특허가 23%로 가장 많았다고 10일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에도 테크IPM이 분석한 LTE 특허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에 앞서 2011년에는 투자은행 제프리스앤코가 분석한 특허 가치 순위에서도 세계 1위 자리에 올랐다.

LTE-A는 LTE의 진화형 서비스로 차세대 이동통신의 표준이 될 것으로 보이는 통신기술이다.

흔히 4세대(4G)로 불리는 LTE가 정확하게는 3.9세대에 해당한다면 LTE-A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애초 정의에 맞는 진정한 4세대 통신이라 할 수 있다.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가 소수점 이하의 점유율 격차로 LTE-A 등록 특허 보유 2위를 차지했다.

테크IPM은 공개자료에서 양사의 등록 특허 수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등록 특허의 전체 건수가 182건인 점을 고려하면 LG전자의 특허 수가 42건, 삼성전자의 특허 수가 41건인 것으로 보인다.

그 뒤를 이어 모토로라(9%)와 노키아(8%), 퀄컴(7%) 등이 3∼5위를 차지했다.

미등록 출원 특허까지 포함한 LTE-A 관련 특허 수는 283건이었다. 미등록 특허를 포함하면 삼성전자과 LG전자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전체의 20%였으며, LG전자가 18%를 차지했다. 이어 퀄컴(14%), 모토로라(8%), 노키아(6%), 인터디지털(6%) 등의 순이었다.

특허를 보유하고도 실제 제품은 만들지 않고 소송에만 활용해 이른바 ‘특허 괴물(Patent Troll)’로 불리는 인터디지털도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인터디지털은 등록 특허만을 대상으로 한 점유율은 5%, 미등록 특허까지 포함한 점유율은 6%를 기록해 두 부문에서 모두 6위 자리를 꿰찼다.

이 때문에 LTE 특허에 이어 LTE-A에서도 각 기업이 특허 괴물의 소송에 대한 방어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