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만 5G 요금 절감” vs “고객 선택권 확대”

“일부만 5G 요금 절감” vs “고객 선택권 확대”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3-04-13 00:41
업데이트 2023-04-13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T·LG유플 ‘중간요금제’ 논란

6만원대서 요금·데이터 세분화
전체 이용자의 4분의1만 해당
중저가 요금제엔 인하 효과 없어
시니어요금은 1GB당 ‘최대 8배’
업계 “1GB 계산 땐 더 비싸” 반박

이미지 확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최근 5세대(5G) 요금제 선택권을 넓히고 가계 통신비 부담을 낮춘다는 취지로 중간요금제를 각각 발표한 가운데 실질 통신비 인하 효과가 일부 이용자에게만 나타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두 회사가 내놓은 만 65세 이상 시니어(고령층) 5G 요금제도 데이터 1기가바이트(GB)당 요금이 다른 새 중간요금제보다 최대 8배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나 외려 불평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가 최근 발표한 새 요금제는 대체로 6만원대에서 요금과 데이터 제공량 구간을 네 종류로 세분화한 형태다. 기존 고가의 5G 요금제를 쓰던 이용자에겐 통신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한 달에 데이터 30GB 정도를 사용하는 SK텔레콤 사용자는 그간 6만 9000원(110GB) 요금제를 써야 했지만, 앞으로는 6만 2000원(37GB)만 내면 데이터를 부족하지 않게 쓸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전체 사용자의 4분의1 이하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다. 김주호 참여연대 사회경제1팀장은 “새 요금제는 롱텀에볼루션(LTE) 사용자와 5G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에겐 통신비 절감 효과가 전혀 없다”며 “전체 이동통신 이용자 가운데 절반 정도인 5G 요금제 가입자 중에서도 고가 요금제를 쓰는 경우는 40% 정도”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시민단체는 오히려 5만원대 요금 사용자가 통신비 지출을 늘려 6만원대로 끌어올려질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데이터 1GB당 요금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예컨대 데이터를 한 달에 12GB 제공하는 LG유플러스의 5만 5000원 요금제에 가입하면 데이터 1GB당 가격은 4500원에 달한다. 하지만 한 달에 8000원을 더 내고 새 요금제를 사용하면 1GB당 가격은 1260원으로 3분의1 수준이 된다.

고령자 전용 5G 요금제가 거의 없다는 지적을 수렴해 두 회사가 제시한 시니어 요금제 역시 1GB당 요금이 비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두 회사가 발표한 시니어 요금제를 데이터 1GB당 요금으로 계산해 보면 SK텔레콤은 4500~5250원, LG유플러스는 3900~ 4500원이다. 새 중간요금제의 1GB당 요금이 각각 687~1675원(SK텔레콤), 560~1260원(LG유플러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고령층은 5G 데이터를 많게는 8배가량 더 비싸게 사용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통신사들은 1GB당 요금을 고려하면 오히려 현재보다 요금이 비싸진다고 반박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요금 체계는 사용자 선택 폭을 넓히면서 고가 요금제 사용자에게 더 혜택이 가도록 설계된 것”이라면서 “시민단체 논리에 맞추면 현재보다 더 비싼 종량제 요금이 등장하게 된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2023-04-13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