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모습 박스형… 차박 등 다양한 쓰임새 위한 것”

“뒷모습 박스형… 차박 등 다양한 쓰임새 위한 것”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3-08-10 17:47
업데이트 2023-08-10 2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자인 지휘한 이상엽 센터장, 싼타페 테일게이트 직사각형의 비밀을 열다

이미지 확대
싼타페의 ‘뒤태’
싼타페의 ‘뒤태’
“세단의 트렁크에는 짐을 싣지만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테일게이트’는 그걸 포함해 차박 등 다양한 걸 할 수 있는 공간이잖아요. 이곳이 완벽한 ‘박스’ 형태가 되도록 의도한 이유입니다.”

현대자동차가 10일 세계 최초로 중형 SUV ‘디 올 뉴 싼타페’를 공개했다. 2018년 4세대 출시 이후 5년 만에 선보이는 5세대 싼타페는 앞서 디자인 공개 이후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늘 싼타페의 ‘뒤태’가 있었다. 직사각형 모양의 직선으로 뚝 떨어지는 유리. 테일램프 위치도 아주 낮게 깔렸다. 최근 유행과는 다소 동떨어진 디자인에 한쪽에선 열광했고, 일부에서는 밋밋하고 어색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이미지 확대
이상엽 현대디자인센터장(부사장)
이상엽 현대디자인센터장(부사장)
이날 최초 공개에 앞서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뉴멕시코주 샌타페이(산타페)에서 열린 미디어 프리뷰 행사에서 현대차의 디자인을 이끄는 이상엽 현대디자인센터장(부사장)을 만나 싼타페 뒤태에 담긴 자세한 사정을 들어 봤다.

서울신문 등 국내 미디어와 만찬을 겸해 인터뷰를 가진 이 센터장은 “지금은 낯설어 보이지만 1970 ~1980년대 SUV의 테일램프는 다 낮았었다”면서 “당시에는 주류였는데, 지금은 아무도 하지 않으니 오히려 특별함을 줄 수 있을 거란 의도로 디자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싼타페가 철저히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차라고 강조했다. 국내외에서 차박 등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던 때 싼타페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2000년 출시된 1세대 싼타페가 도심형 SUV로 개발됐던 것과 달리 이번 5세대에 이르러 아웃도어 활동에서의 활용성이 더욱 강조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휠베이스(50㎜)·전장(45㎜) 등 차량의 크기도 전작보다 커져 플래그십 SUV ‘팰리세이드’를 위협할 정도다.

포르쉐와 랜드로버. 이 센터장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동차 브랜드다. 이 센터장은 두 브랜드를 “과거의 전통을 끝까지 지키는 와중에도 새로운 혁신 포인트를 찾는 곳”이라고 평가했다. 그에 비해 이번 싼타페는 전작을 거의 계승하지 않았다고 해도 될 정도로 큰 변화를 추구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여기에도 고민은 있다. SUV로서 현대차의 또 다른 헤리티지를 간직한 차량인 ‘갤로퍼’와 ‘테라칸’을 아울러 녹여 내기 위한 시도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어떤 분은 랜드로버 ‘디펜더’ 같다고도 하던데, 저는 좋아요. 인테리어 사이즈는 디펜더보다 큰데, 가격은 반이잖아요. 더 상위 차량이랑 비교해 준 게 오히려 감사하죠.”

각진 차량은 중후하고 멋스럽지만 공기저항계수가 나쁘다. 효율을 강조하는 최근 모델들이 유선형의 둥그런 디자인을 채택하는 이유다. 현대차는 여기에 ‘전기차적인’ 요소를 집어넣어 해결하고자 했다. 전면부 그릴 쪽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에어 셔터를 비롯해 구멍을 뻥뻥 뚫어 놓은 것. 덕분에 5세대 싼타페는 박스 형태의 차량임에도 0.294의 우수한 공력 성능을 달성했다.

국내보다 앞서 미국에서 미디어 프리뷰를 진행한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뉴멕시코주 산타페가 싼타페 차명에 영감을 준 곳이라는 것과 싼타페의 주요 시장이 미국이라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2000년 출시된 뒤 올 상반기까지 싼타페는 한국에서는 138만 9823대 팔렸으나 같은 기간 미국에서는 217만 2596대가 판매됐다. 글로벌 전체(565만 4076대)를 놓고 보면 10대 중 4대가 미국에서 팔리는 셈이다.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 디테일만 보진 않습니다. 차 자체보다도 그 차가 도로를 달릴 때, 다른 자동차들과 있을 때 얼마나 자연스러울지를 고민하죠. 불특정 다수를 위한 디자인은 할 수 없습니다. 평범하니까. 5~10년 뒤면 가치가 확 떨어지죠. 이번 싼타페도 모두가 아닌, 가족과 아웃도어 라이프를 즐기고자 하는 이들을 겨냥한 차입니다.”
산타페 오경진 기자
2023-08-11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