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롯데면세점 명동본점 내 루이비통 매장.(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은 없음) 서울신문DB
고물가와 내수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명품도 중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준 머스트잇, 발란 등 명품 플랫폼 7곳의 누적 카드 결제금액은 3758억원으로 지난해(6069억원) 같은 기간보다 38.1% 감소했다. 2022년(90245억원)과 비교하면 59% 줄어들었다.
플랫폼별로 보면 지난 2년 사이 한스타일을 운영하는 리앤한은 80%, 머스트잇은 73%, 트렌비는 71%가 줄었다. 디코드는 62%, 발란·필웨이는 각각 61%, 오케이몰은 36%씩 카드 결제금액이 감소했다.
명품 플랫폼의 거품은 꺼져가고 있다. 한스타일은 경영난이 심화돼 지난달 쇼핑몰 문을 닫고 다음달 사업을 모두 정리할 예정이다. 2001년 문을 열어 국내 1세대 명품 편집숍으로 꼽히는 한스타일은 최근 사업을 확장해왔으나 명품 업황이 위축되면서 성장세가 꺾였다.
주요 명품 플랫폼 2022~2024년 1~8월 누적 카드 결제 금액.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제공
반대로 중고 명품 플랫폼은 거래액 성장세가 가파르다. 지난 1∼8월 구구스, 시크 등 중고 명품 플랫폼의 누적 카드 결제금액은 1474억원으로 2022년(658억원) 대비 124% 증가했다. 시크는 594%, 구구스는 83%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유행할 당시 대중적으로 명품 소비가 증가했는데 소비가 침체되면서 명품 시장에선 정말 구매력이 높은 사람만 남아 있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해외 여행이 코로나19 이전처럼 원활해지면서 국내서 이뤄졌던 명품 소비는 2022년에 비하면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