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위공직자 작년 재산 평균 5.8% 증가

대구 고위공직자 작년 재산 평균 5.8% 증가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대구지역 고위 공직자와 시의원, 구.군의원, 관계기관 사장 등의 1인당 평균 재산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009년 말 기준으로 김범일 대구시장을 비롯해 부시장, 시의원, 구청장.군수 등 40명의 1인당 평균 재산총액이 14억8천373만5천원인 것으로 신고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의 14억244만9천원보다 5.8%(8천128만6천원) 늘어난 것이다.

최고액 신고자는 전년도에 이어 류병노 시의원으로 89억6천149만4천원이었고 이경호 시의원은 마이너스 9억5천138만5천원으로 2008년에 이어 최저 신고자로 기록됐다.

김 시장은 전년도보다 1억1천806만4천원(6.1%)이 증가한 20억4천564만9천원을 신고했다. 김 시장 측은 소득 수입과 임대채무 감소 등으로 재산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기초단체장급 이상 가운데 26명(65%)은 재산이 증가했고 14명(35%)은 감소했다.

재산 최다 증가자는 나종기 시의원으로 19억7천821만원(80.2%)이 늘어난 44억4천521만6천원을 신고했다.

지난 2월 임명된 김연수 대구시 행정부시장의 재산 변동사항은 오는 9일 관보에 공개될 예정이다.

또 지역 공직 관계기관 사장과 구.군 의회 의원 등 119명의 평균 재산총액은 8억1천683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3천611만2천원(4.6%)이 증가한 것이다.

기초의원 중 최고액 신고자는 정종태 달성군의원(56억2천690만7천원)이고 최저 신고자는 김재관 달서구의원(마이너스 6천819만5천원)이었다.

시 공직자윤리위는 신고 내용을 대상으로 성실신고 여부를 심사한 뒤 재산누락 또는 불성실 신고자에 대해서는 관련 규정에 따라 과태료 부과, 경고 또는 보완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