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라운지] 6·2 지방선거후 시장은

[부동산 라운지] 6·2 지방선거후 시장은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절적 비수기로 안정세 유지할 듯 서울강동 재건축단지 관심 가져야

올 상반기는 부동산업계가 참 힘든 시기였다. 올 초부터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이 수도권 주택시장을 점령하는 바람에 민간 주택업체들이 설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보통 선거를 앞두고 나오는 개발공약이나 주택관련 정책도 올해는 싹 사라졌다. 지난번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뉴타운’이 수도권 선거판의 키워드였던 것과 대조된다.

그렇다면 6·2 지방선거가 끝나면 어떠할까. 전문가들은 지금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선 지방선거가 끝나면 6월에는 남아공 월드컵과 여름 휴가철이 다가온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기 쉽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은 분위기에 휩쓸리는 경향이 강한 측면이 있다. 건설사들도 웬만하면 휴가철인 7~8월에는 신규 분양을 하지 않는 것이 불문율”이라고 전했다.

전세시장도 이사철이 지나고 계절적 비수기를 맞아 상반기보다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2차 보금자리주택의 사전예약이 부진한 틈을 타 6월에는 올 들어 가장 많은 신규 물량이 쏟아진다. 6월 한 달 동안에만 서울과 수도권에서 2만여가구가 새로 분양될 예정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 입장이다. 주택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해양부는 주택 정책의 축을 ‘보금자리주택’으로 삼고 있다. 시장에서는 보금자리주택이 민간주택사업을 어렵게 하고 부동산시장을 위축시켰다는 지적이 있기는 하지만, 대규모 공공주택 공급을 통해 주택시장을 통제하겠다는 정부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국토부는 6월 보금자리 시범지구에 민간업체가 분양하는 중대형 아파트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고위관계자는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한 바가 크다. 보금자리주택을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속적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민간업체에서 지속적으로 폐지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분양가 상한제에 대해서도 국토부는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서울의 재건축 시장은 눈여겨봐야 한다. 5월 한 달 동안 서울 아파트값 하락을 주도했던 곳은 서울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다. 하지만 서울 강동구에서 6월 고덕주공5단지, 둔촌 1·2·3·4단지 등 1만여가구의 재건축단지 시공사 선정이 완료되면 시장이 꿈틀거릴 가능성이 높다.

스피드뱅크 조민이 팀장은 “전반적으로 하락 기운이 넓게 퍼져 있어 부동산 시장이 크게 일어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당분간 약보합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6-03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