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수도권 주택가격, 3개월만에 약세

6월 수도권 주택가격, 3개월만에 약세

입력 2013-06-30 00:00
업데이트 2013-06-30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반기 전국 매매가 0.18% 하락, 전세가 1.76% 상승

여름 비수기와 취득세 감면 조치 종료를 앞둔 6월에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이 3개월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한국감정원은 10일 기준 전국 주택가격을 조사한 결과 6월의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이 0.08% 떨어졌다고 30일 밝혔다.

지방 주택가격은 0.14% 올라 6월에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03% 상승했다.

수도권 주택시장이 약세로 돌아선 것은 계절적인 비수기와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를 앞두고 매수세가 위축된데 따른 것이다.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0.24% 내려 3개월 만에 하락 반전했다. 광진구(-1.14%), 송파구(-0.80%), 강남구(-0.52%), 용산구(-0.46%), 양천구(-0.42%) 등 중심으로 가격을 끌어내렸다.

반면 대구(0.87%), 경북(0.44%), 세종(0.37%), 충남(0.21%), 충북(0.13%) 등은 올랐다.

주택 전세가격은 6월에 0.22% 올라 상승세를 이어갔다.

대구(0.99%), 세종(0.65%), 대전(0.39%), 경북(0.36%), 인천(0.30%), 경남(0.28%), 경기(0.23%) 등 순으로 올랐다.

수도권(0.20%)은 전세의 월세 전환으로 전세물건 품귀현상이 나타나 강세가 이어졌다. 0.13% 오른 서울의 경우 영등포구(0.76%), 서대문구(0.63%), 용산구(0.57%), 구로구(0.53%), 금천구(0.50%)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지방(0.23%)의 전세가격도 국가산업단지와 혁신도시 배후 주거지 중심으로 10개월 연속 상승했다.

상반기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은 0.18% 하락한 반면 전세가격은 1.76% 상승했다.

집값은 상반기에 수도권이 1.07% 내렸지만 지방은 0.65% 올랐다. 올해 상반기 세종시(3.92%), 대구(3.56%), 경북(2.28%) 등 집값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인천(-1.38%), 경기(-1.09%), 서울(-0.94%) 등 수도권은 약세를 나타냈다.

주택 전세가격은 올해 상반기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1.85%, 1.69% 상승했다. 세종시는 무려 7.06% 상승률을 기록했고 대구(4.85%), 대전(3.09%), 경북(2.47%) 등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6월 현재 전국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2억3천15만원, 전세가격은 1억3천163만원을 각각 나타냈다.

전국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0.3%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비율은 수도권은 58.4%, 지방이 62.1%로 각각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아파트 66.7%, 연립주택 62.2%, 단독주택 42.7% 등 순이다.

올해 하반기 주택시장에선 대구와 경북의 집값 강세가 지속될 전망이나 하반기 대단지 입주가 예정된 세종·대전·부산은 약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하반기 전세시장은 물량 부족 지역과 서울 강남 등 우수학군 중심으로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세기 감정원 부동산분석부장은 “하반기 주택 매매시장은 금리인상으로 인한 매매심리 위축, 취득세 감면 종료,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소폭 조정을 받거나 보합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