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있는 강남 세입자’ 전셋값 상승 주범

‘집있는 강남 세입자’ 전셋값 상승 주범

입력 2013-11-01 00:00
업데이트 2013-11-01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93%가 수도권에 집” 인상분 자기 세입자에 전가… 전국 전셋값 추가상승 요인

서울 마포구에 집이 있는 김모(45)씨는 초등학생 자녀의 학군 때문에 강남구에서 전세를 산다. 올 초 집주인이 전셋값을 5000만원 올려 달라고 하자 김씨는 마포구 자신의 집 세입자에게 전셋값을 올려 받아 이를 충당했다. 강남의 전셋값이 마포의 전셋값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이다. 김씨처럼 집이 있으면서도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에서 세를 사는 ‘자가(自家) 세입자’들이 전셋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말 현재 강남 3구에 살고 있는 자가 세입자의 93%가 수도권에 집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강북 29%, 강남 20% 등 서울에 집이 있는 사람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경기·인천 주택 보유자는 44%였다. 한은은 “이들은 강남 3구에 전세를 얻을 때 부담하는 전세가격 상승분을 자신이 소유한 주택의 세입자에게 상당 부분 전가하고 있다”면서 “이것이 다른 지역의 전세가격을 추가로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은이 6월 말 현재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주택 소유자를 거주지별로 분류한 결과 강남 3구의 주택 보유 전세 비중은 61.2%로 전국 평균(34.1%)은 물론 수도권(37.6%), 서울(44.1%)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은 관계자는 “다른 지역에 집을 갖고 있으면서도 ‘사교육 1번지’로 통하는 강남 지역에 전세를 얻으려고 몰려든 결과 이 지역의 전세 물량이 품귀 현상을 빚어 가격이 오르고, 전셋값 상승에 따른 부담을 자신이 가진 집의 세입자에게 떠넘겨 보증금을 올려 받는 악순환이 빚어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11-01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