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할까, 재건축할까… 관건은 용적률·사업 속도

리모델링할까, 재건축할까… 관건은 용적률·사업 속도

입력 2014-09-29 00:00
업데이트 2014-09-29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1 부동산 대책 후 오래된 아파트 주민 깊어지는 고민

‘리모델링을 하자니 수익성이 떨어지고….’ ‘재건축을 하자니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9·1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재건축 규제가 완화되면서 오래된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내년 4월부터 아파트 등 공동주택 재건축 연한이 최대 30년으로 지금보다 10년 단축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재건축 대상이 안 돼 리모델링을 추진하던 아파트 단지에서 재건축으로 갈아타자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미도아파트 전경. 1987년에 지어진 이 아파트는 2007년부터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최근 재건축 연한이 단축되면서 재건축으로 방향을 바꿀지 주민들이 고민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미도아파트 전경. 1987년에 지어진 이 아파트는 2007년부터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최근 재건축 연한이 단축되면서 재건축으로 방향을 바꿀지 주민들이 고민하고 있다.
2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미도아파트의 미도아파트리모델링추진위원회(가칭)는 지난 18일 입주자 대표 회의를 열고 향후 아파트 개발 사업의 방향을 논의했다. 1987년 준공된 반포미도아파트는 2007년부터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최근 재건축 연한이 단축되면서 재건축을 원하는 주민들이 많아지고 있다. 개포동의 정애남 공인중개사는 “재건축 대상 아파트가 많은 개포동은 재건축이 대세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 4구에서 재건축 이주 물량만 2만 4000여 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새로 아파트를 짓는다 하더라도 반드시 기대한 만큼의 수익을 낸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재건축과 리모델링의 차이를 잘 이해한 다음 거주 아파트와 지역 특성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재건축은 말 그대로 기존의 아파트를 부수고 새 아파트를 짓는 것이기 때문에 새 아파트라는 프리미엄은 물론 공간 활용과 설계가 기존 아파트에 비해 뛰어나고 더 좋은 소재를 쓴다는 장점이 있다. 리모델링은 기존 골조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설계에 한계가 있다.

재건축의 단점은 사업 기간이 길어 기대 수익성이 재건축 완료 시점에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서초구 잠원동 에덴공인중개사무소의 정영숙 대표는 “재건축은 막대한 사업비가 들고 사업 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 고려해야 할 요인이 많다”며 “리모델링은 사업 기간이 18~24개월로 상대적으로 짧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조합원들끼리 의견이 엇갈려 10년 넘게 추진이 지지부진한 곳들도 많다”며 “그렇게 시간이 걸려 재건축을 한 다음에는 시세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때문에 반드시 재건축이 더 수익이 높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재건축이냐 리모델링이냐를 두고 사업성을 따질 때 ‘용적률’을 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제외)를 대상으로 평균 용적률을 분석한 결과 1990년 이전에 준공된 아파트의 평균 용적률은 191.6%인 것으로 집계됐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지하층, 주차장시설, 주민공동시설을 제외한 건축물의 바닥 면적 합계) 비율을 말한다. 용적률이 낮으면 가구별 대지 지분 비율이 높아 재건축하게 되면 추가로 건립하는 가구 수가 늘어나 사업 수익성이 유리하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재건축 시 용적률 상한선 기준이 여전히 남아 있고 지방에 비해 수도권 지자체는 고밀도 개발을 지양하고 있다”며 “아파트 공급 확대 시기에 지어진 1991~2000년 사이의 서울 아파트 평균 용적률은 이미 300%에 육박해 새로 짓는 아파트의 용적률 상향은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글 사진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9-29 2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