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경기도 아파트값 변동률 지역 편차 3배

작년 경기도 아파트값 변동률 지역 편차 3배

류찬희 기자
입력 2019-01-17 17:26
업데이트 2019-01-18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당 13%·판교 20%↑… 안성 9.7%↓

경기도 내 지역별 아파트값 변동률 편차가 3배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감정원 아파트값 동향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경기도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남 분당구로 무려 13.0% 상승했다. 특히 판교 신도시 아파트값은 20% 가까이 올랐다. 과천 12.8%, 구리시도 11.1% 뛰었다. 이어 광명시 아파트값이 9.6% 상승해 4위를 기록했고, 하남시 아파트값이 8.9% 올라 뒤를 이었다. 5곳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서울 아파트값 평균 상승률(7.3%)보다 높았고, 서울 강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값 상승률(8.5%)과 비교해도 많이 올랐다.

반면 경기 남부권 도시 아파트값은 곤두박질쳤다. 안성 아파트값은 9.7%나 내렸고, 평택과 안산시 아파트값도 8.3% 하락했다. 용인 아파트값은 3.6% 떨어지고, 파주 아파트값은 3.5% 빠졌다.

지난해 큰 폭으로 올랐던 지역이라도 올해는 가격 하락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13대책 발표 이후 상승률이 멈춘 데 이어 하락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특히 안성, 평택에서는 올해도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하락폭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9-01-18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