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세 난 위험 줄어들자…세입자 계약 갱신 늘었다

역전세 난 위험 줄어들자…세입자 계약 갱신 늘었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3-08-11 00:43
업데이트 2023-08-11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증금 대비 전세가 격차 줄어
새 계약 비율 7월 54%로 격감

이미지 확대
최근 수도권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계약을 새로 맺는 비중이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보증금 대비 현재 전세가격 간 격차가 줄면서 역전세 위험이 낮아지자 굳이 비용을 들여 이사하지 않고 계약을 갱신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수도권 전세 신규 계약 비중은 역전세 이슈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4월 60.3%까지 올라섰다가 서서히 줄면서 7월에는 54.7%까지 낮아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전세 계약 24만 8324건 가운데 계약 유형이 신규인 14만 3118건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다.

특히 서울과 5년 이하 신축 단지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지난 4월 대비 7월 신규 계약 비중은 서울(-7.7% 포인트), 경기(-5.0% 포인트), 인천(-1.8% 포인트)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전셋값 회복이 빠른 지역일수록 갈아타기 움직임이 둔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올해 신규 계약된 수도권 아파트를 연식 구간별로 비교한 결과 입주 5년 이내 아파트의 비중은 1월 29.7%에서 점차 감소하다 7월 20.8%를 나타냈다. 신축이 구축에 비해 가격 회복력이 상대적으로 좋아 역전세 리스크가 낮고, 전셋값이 높아 이사 시 가격 부담이 있다는 점 등이 신규 계약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21~30년 이내 아파트의 비중은 1월 23.7%에서 7월에는 30.6%로 증가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밝힌 8월 1주(8월 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4% 상승, 전세가격은 0.03% 상승을 기록했다. 전셋값은 서울과 수도권이 나란히 지난주 대비 0.02% 포인트씩 오르며 각각 0.11%와 0.09%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전셋값에 대해 “교통 및 학군 등 주거환경이 양호한 신축 위주로 저가 매물이 소진된 후 거래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며 “강북의 경우 성동구 행당·옥수·금호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남은 송파구 잠실·가락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윤수경 기자
2023-08-11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