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신용자 대출해준다더니…“카뱅 고신용 대출에 치중”

중신용자 대출해준다더니…“카뱅 고신용 대출에 치중”

윤연정 기자
입력 2020-10-09 16:36
업데이트 2020-10-09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뱅, 1~4등급 대상 대출 금액 98%
배진교 의원 “중금리 대출 비율 강제”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금리 대출시장을 활성화하겠다며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오히려 고신용 대출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의당 배진교 의원실이 금감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 기준 카카오뱅크의 신용대출 건수는 1~4등급이 93.5%에 달했다. 반면 5~6등급와 7등급 이하 비중은 각각 5.54%와 0.87%밖에 되지 않았다.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고신용 대출 비중이 훨씬 두드러진다. 6월 말 기준 1~4등급 신용대출 금액은 17조 783억원으로 그 비중이 98.46%에 달했지만, 5~6등급 액수는 2381억원(1.37%), 7등급 이하 금액은 288억원(0.17%)에 그쳤다.

애초 인터넷은행은 2017년 출범 당시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사이의 중금리 대출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목표로 세워졌다.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기는 어렵지만 제2금융권으로 가기에는 어려운 중신용등급은 사각지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카오뱅크의 2017년 말 1~4등급 대출 건수 비중이 87.9%에서 올해 6월 말 93.5%로 증가할 때, 5~6등급 비중은 10.2%에서 5.54%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7등급 이하도 1.78%에서 0.87%로 축소됐다. 중신용자 대출보다는 고신용자 대출에 치중해 설립했다는 카카오뱅크의 취지가 무색해졌다.

반면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에 비해 5~6등급 신용대출 비중이 높다. 2017년 말 37%였던 5~6등급이 2019년 6월 말 45.7%까지 올랐다. 같은 시기 1~4등급 대출 건수 비율은 60%에서 46.4%로 줄었다. 그러나 케이뱅크는 자본 부족으로 1년간 신규대출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카카오뱅크와 단순 비교가 어렵다.

배진교 의원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영업 행태가 시중은행과 다를 바 없다면, 이들에게 특혜를 줄 이유가 없다”며 “중금리 대출의 일정 비율을 강제하든지 일반은행으로 전환시킬지 등에 대해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