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에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율 70% 넘었다

경제위기에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율 70% 넘었다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1-27 19:41
업데이트 2022-01-27 19: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금융지주 매각대금 등
공적자금 지난해 9133억 회수
공적자금 회수율 추이. 금융위원회
공적자금 회수율 추이. 금융위원회
경제위기를 겪으며 어려워진 금융기관의 부실을 정리하고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투입된 공적자금(공적자금Ⅰ)이 70% 넘게 회수됐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4분기에 회수한 공적자금이 9133억원 규모라고 27일 밝혔다. 우리금융지주 매각대금 8977억원, 부실채권정리기금 잔여재산 사후정산금 81억원, KR&C 대출채권 이자 76억원 등을 포함한 금액이다.

지난해 회수한 공적자금은 총 1조 2919억원이다. 이로써 1997년부터 지원된 공적자금 168조 6553억원 가운데 118조 5398억원가량이 회수돼 회수율은 70.3%가 됐다. 2020년 말(69.5%)과 비교하면 0.8%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공적자금 회수율은 2011년 말 기준으로 60.9%였는데 60%대를 벗어나기까지 10년이 걸렸다.

공적자금은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금융기관 부실 정리를 위해 정부보증채권 등을 재원으로 조성된 ‘공적자금I’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설치한 구조조정기금인 ‘공적자금Ⅱ’로 나뉜다. 공적자금Ⅱ는 2014년 운용이 종료돼 공적자금 회수율은 일반적으로 공적자금Ⅰ의 회수율을 말한다.

황인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