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강달러 시대…증권사 발행어음 굴려볼까

고금리·강달러 시대…증권사 발행어음 굴려볼까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8-31 17:20
업데이트 2022-09-01 0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리인상 수혜’ 단기 금융상품 인기

CMA 잔액 11조원… 7개월새 37%↑
일 단위로 단기 자금 운용에 유용
1년 약정형 수익률 연 4.1~4.15%
고환율에 외화 발행어음도 ‘주목’
예적금과 달리 예금자 보호는 안 돼

이미지 확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강력한 긴축 의지로 국내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주식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준금리 인상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인 발행어음에 관심이 쏠린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29일 기준 개인의 발행어음형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액이 11조 3667억원이라고 31일 집계했다. 올해 1월 말(8조 2835억원)과 비교하면 37%나 늘어난 수치다. 계좌 수도 같은 기간 444만 9379개에서 487만 855개로 늘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 자체 신용으로 발행되는 1년 이내의 단기 금융 상품으로 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한국투자증권·KB증권 등 4개 증권사가 취급하고 있다. 증권사가 발행하는 일종의 저축 상품인데, 만기가 통상 6개월~3년 정도로 비교적 긴 예적금과 달리 일 단위로 짧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발행어음의 종류는 자금을 넣었다 뺄 수 있는 수시형, 일정한 투자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약정형(만기형), 여러 번 나눠 투자 금액을 늘릴 수 있는 적립형으로 나뉜다. 발행어음에 투자하는 발행어음형 CMA에 가입할 수도 있다.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발행어음 수익률의 매력도 높아지고 있다. 4개 증권사는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지난 26일 일제히 개인 대상 수시형과 1~3개월 미만 약정형 발행어음의 수익률을 0.25% 포인트 인상했다. 31일 기준 이들 증권사의 수시형 발행어음 수익률은 연 2.55%, 1년 약정형 발행어음 수익률은 연 4.10~4.15% 수준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발행어음 수익률은 회사의 자금 운용 상황, 운용 보수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정해지는데 특히 기준금리에 연동되는 성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이 1350원대로 올라서는 등 연이어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강달러 상황을 고려해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불리고 싶다면 외화 발행어음을 매수할 수도 있다. KB증권의 외화 발행어음은 최소 1000달러(약 135만원)부터 가입이 가능하고 수시형과 1년 약정형 상품에 각각 연 2.5%, 연 3.7%의 수익률이 적용된다.

한편 원금과 이자가 최고 5000만원 한도까지 보호되는 예적금과는 달리 발행어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자산 가격 변동, 신용 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 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예적금과 마찬가지로 약정한 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출금을 하면 약속받은 수익률의 20~70% 정도밖에 보장받을 수 없다.

황인주 기자
2022-09-0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