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간편식 시장 ‘시니어 세대’가 이끌 듯

올 간편식 시장 ‘시니어 세대’가 이끌 듯

심현희 기자
입력 2019-02-11 18:04
업데이트 2019-02-12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CJ제일제당, HMR 트렌드 전망

지난해 즉석밥 등 2년새 크게 증가
혼밥족 10끼 중 4끼 간편식 섭취
올핸 조리 활용도 높은 닭고기 주목
이미지 확대
올해 국내 가정간편식(HMR) 시장의 성장을 55세 이상 ‘시니어 세대’가 이끌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시니어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른바 ‘혼밥’(혼자 식사)을 하는 시니어 수도 늘어나고 있어서다.

CJ제일제당은 11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2019 트렌트 토크’를 열고 6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내외식 취식 메뉴 데이터 30만건과 전국 5000여가구 가공식품 구입 기록 데이터, 5200만건 이상의 온라인 빅데이터 등을 종합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식문화 현황 및 올해 가정간편식 트렌드 전망’을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 시니어 가구 내 HMR 침투율이 즉석밥, 국물요리 등 모든 카테고리에서 2016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냉동식품은 침투율이 최대 64%를 기록했다.

이는 인구감소 현상 등의 영향으로 시니어 가구수 및 가구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들의 가공식품 구입금액도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시니어 가구에서 홀로 식사를 해결하는 ‘개식화’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 HMR 소비는 한층 더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시니어 혼밥률은 한국인은 평균 10끼 가운데 3.9끼보다 많은 4.4끼였다. HMR의 격전지로는 온라인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지난해 온라인 경로를 통해 HMR를 구매한 경험률은 전년보다 8% 포인트 증가해 절반에 육박했다. 이밖에 HMR 식재료로는 튀김·구이·끓임 등 조리 활용도가 높은 닭고기가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남성호 전략트렌드팀장은 “올해 HMR 시장은 소비자가 중요시하는 가치가 점점 세분화되면서 제품군도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9-02-12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