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켐텍, 2차전지 소재 회사로 큰 그림 그린다

포스코켐텍, 2차전지 소재 회사로 큰 그림 그린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9-02-27 23:22
업데이트 2019-02-28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코케미칼’로 사명 변경 의결…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설비 증설

석탄화학 및 탄소소재 전문기업인 포스코켐텍이 ‘포스코케미칼’로 재탄생한다. 자동차 배터리 부품·소재 사업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포스코켐텍은 27일 이사회를 열고 포스코케미칼로 사명을 변경하고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이전 상장을 추진하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다음달 18일 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 의결이 이뤄지면 최종 변경된다. 포스코켐텍 관계자는 “기초소재에서부터 에너지소재로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포스코그룹을 대표하는 화학·소재 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포스코켐텍은 이날 이사회에서 2차전지 양극재 생산 설비를 늘리는 데 2191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양극재는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고 출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핵심 소재다. 배터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이른다. 포스코켐텍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고용량 양극재 양산을 위한 투자”라면서 “포스코가 배터리 소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증설 설비는 전남 광양 율촌산단에 조성되며 2020년 2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 규모는 연 2만 4000t으로, 40◇급 전기차 30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증설이 완료되면 기존 1만 5000t 생산 규모의 설비를 포함해 연 3만 9000t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아울러 하이니켈계 양극재 설비도 단계적으로 증설해 나갈 계획이다.

세계 순수 전기차 시장 규모는 지난해 197만대에서 2025년 1170만대로 연평균 33% 이상 급성장하고, 양극재는 지난해 13만 1000t에서 2025년 167만 6000t까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19-02-28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