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판매 부진에… 노사합의로 첫 생산 중단

쌍용차 판매 부진에… 노사합의로 첫 생산 중단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9-07-01 22:28
업데이트 2019-07-02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월부터 줄어 재고량 적정 수준 넘어

4일간 휴업… 평택 생산직 임금 30%↓

쌍용자동차가 4일간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했다. 판매 부진을 이유로 생산을 멈추는 것은 처음이다.

쌍용차는 적정 재고 유지를 위한 생산물량 조정을 위해 노사 합의를 거쳐 평택공장에서 자동차 생산을 중단한다고 1일 공시했다. 중단 일자는 이달 5일과 8일, 12일, 15일 등 4일로, 월요일과 금요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노사는 첫째주와 둘째주 주말을 포함해 4일씩 휴업한다. 평택공장 생산직 직원이 휴업일 동안 받아야 할 임금도 30% 줄어든다.

올해 쌍용차의 월 판매량은 5월까지 평균 1만 1000여대 수준을 유지하다 지난달 1만 375대로 줄었다. 쌍용차가 내부적으로 판단하는 적정 재고량은 4500대인데, 4월부터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재고량이 5000대를 넘어섰다. 쌍용차 관계자는 “늘어나는 재고량을 줄이려고 2시간씩 휴식하는 계획 정지도 시행해 봤지만 4월 이후 지속된 판매 부진으로 재고량을 5000대 이하로 줄이지 못했다”고 말했다.

쌍용차는 지난 2월 말 전략 모델로 신형 코란도를 출시했다. 3월 2202대가 팔리며 기대를 모았지만 4월부터 판매량이 줄기 시작했다. 지난 5월 1585대를 기록한 데 이어 6월에는 1114대로 더 떨어졌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1위 모델인 티볼리도 판매 부진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달 출시된 부분변경 모델인 ‘베리 뉴 티볼리’는 2940대가 팔렸지만, 이는 지난 5월 기존 티볼리 판매량인 3977대에서 26.1% 줄어든 수치였다.

이처럼 판매 부진에 빠져 생산 중단이라는 ‘극약 처방’에 나선 쌍용차지만 올해 상반기 판매량에서는 역설적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을 기록해 눈길을 끈다. 쌍용차 이외 현대차·기아차·르노삼성차·한국지엠 쉐보레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내수·수출 모두 역성장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경기 불황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내수 부진이 가장 큰 이유”라면서 “다른 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인데 쌍용차는 그나마 노사 협력이 잘돼 재고량 조정을 위한 휴업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19-07-02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