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방한 직후 조치… 한한령 풀리나

왕이 방한 직후 조치… 한한령 풀리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9-12-09 21:14
업데이트 2019-12-10 0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LG화학·SK이노 전기차 배터리에 보조금

외국산 배터리 쓰는 차에도 지원금 지급
전기차 판매 급감하자 시장 확대 노린 듯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한국 업체의 전기차 배터리가 중국 정부의 보조금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2016년 중국이 보조금을 지급한 이후 처음이다. 이 같은 결정이 지난 4∼5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방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곧 한한령이 해제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9일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2019년 11차 친환경차 추천 목록’에 LG화학(상하이 테슬라)과 SK이노베이션(베이징 벤츠) 배터리가 탑재된 자동차가 포함됐다.

중국의 자동차 전문매체 가스구는 “LG화학·파나소닉 배터리를 장착한 테슬라 ‘모델3’, SK이노베이션 배터리를 사용하는 벤츠 ‘E클래스’ 하이브리드, 파나소닉·산요 배터리를 탑재한 도요타 CH-R 등이 목록에 들어갔다”고 소개했다. 그간 중국 정부는 자국 배터리 업체를 키우고자 외국 업체의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발표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도 해외 기업에 전면 개방됐다는 것이 중국 언론의 설명이다. 중국 정부는 자동차용 배터리 보조금을 내년 말까지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들어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등으로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이 크게 줄자 정부가 시장을 키우고자 한국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도 보조금 대상에 포함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12-10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