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한파에도…삼성전자 D램·낸드 굳건한 세계 1위

메모리 한파에도…삼성전자 D램·낸드 굳건한 세계 1위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10-16 12:24
업데이트 2022-10-16 1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점유율 D램 43.4%·낸드 33.3%
2위는 각각 SK하이닉스 유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한파가 더욱 매서워지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메모리 시장 점유율에서 압도적 1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더욱 공격적인 투자로 ‘초격차’ 기술력을 더울 벌려 나갈 계획이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서울신문 DB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서울신문 DB
16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43.4%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 41.9%에서 올해 1분기 42.7%, 2분기 43.4%로 2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D램 분야 2위인 SK하이닉스의 2분기 점유율은 28.1%로 1분기(27.1%)보다 1%P 상승했다. 미국의 마이크론은 시장 점유율 23.6%로 3위를 차지했다. 마이크론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24.8%)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상위 3개 회사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95.1%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도 1위를 유지했지만, 2분기 낸드 시장 점유율은 1분기(35.5%)보다 2.2%P 하락한 33.3%로 집계됐다. SK하이닉스(자회사 솔리다임 포함)는 20.4%로 2위였다. 이어 일본 키옥시아(16.0%), 미국 웨스턴디지털과 마이크론(각각 13.0%) 등 순이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시장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는 시장 전반의 공통된 악재이기 때문에 메모리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압도적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확대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22’에서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이정배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5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22’에서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이정배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공격적인 투자로 위기를 돌파한다’는 기조에 따라 메모리 분야에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테크 데이’에서 2023년에 5세대 10나노(㎚·10억분의 1m)급 D램, 2024년 9세대 V낸드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어 2030년까지 1000단 V낸드를 개발하겠다는 구체적인 로드맵도 제시했다.



박성국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