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사업 나서는 현대위아,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 성공

로봇 사업 나서는 현대위아,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 성공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3-04-25 10:58
업데이트 2023-04-25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율주행·고정노선 물류로봇 상용화

이미지 확대
현대위아가 개발한 자율주행 물류로봇(AMR)과 협동로봇을 결합한 제조·융복합 모바일 로봇의 모습.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개발한 자율주행 물류로봇(AMR)과 협동로봇을 결합한 제조·융복합 모바일 로봇의 모습.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물류로봇 상용화에 성공했다.

현대위아는 25일 자율주행 물류로봇(AMR)과 고정노선 물류로봇(AGV)을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와 현대모비스의 미국 공장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두 물류로봇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물건을 운송하는 로봇이다. 이 중에서 자율주행 물류로봇은 제품에 따라 최대 적재 하중이 300㎏에서 1000㎏에 이른다. 라이다 센서를 장착한 로봇이 실시간으로 공장 지도를 만들어 스스로 돌아다닌다. 위험 지역을 별도로 분류해 최적의 경로도 자동으로 생성한다.

라이다 센서에 3D 카메라도 추가해 안정성도 대폭 높였다고 한다. 일차적으로 장애물을 파악하면서, 라이다가 인식할 수 없을 땐 카메라도 활용해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다. 사물인터넷(IoT) 기반 ‘통합 관제 시스템’까지 적용되는 등 첨단 기술이 대거 탑재됐다.
이미지 확대
현대위아가 개발한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의 모습. 최대 적재하중이 1000㎏인 이 AMR은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해 공장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물건을 운송할 수 있다.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개발한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의 모습. 최대 적재하중이 1000㎏인 이 AMR은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해 공장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물건을 운송할 수 있다. 현대위아 제공
고정노선 물류로봇은 가이드라인을 따라 물건을 이송한다. 차체와 부품을 정해진 경로에 따라 정확하게 옮겨 생산성을 높인다. 이 로봇은 ‘ㅌ오합 모듈러 아키텍처’ 체계로 개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신속하게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신사업인 로봇 분야에서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어서 기쁘다”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로봇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분야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회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